뷰페이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인문학의 쓸모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인문학의 쓸모

입력 2021-02-02 17:22
업데이트 2021-02-03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07년 그리스 아테네. 문화예술은 최고의 정치 행위다.
2007년 그리스 아테네. 문화예술은 최고의 정치 행위다.
유진 D 제노비즈(1930~2012)는 미국의 대표적인 좌파 지식인에 속한다. 1960년대 미국 좌파 역사가 가운데 최고의 학문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받은 인물이지만, 한국에서는 이름조차 생소하다. 문화적 마르크스주의자 또는 사회주의적 휴머니스트로 불리는 그의 인문학에 대한 통찰은 매우 신선하다.

그는 정치적 행동주의에 매몰된 동료 좌파를 매섭게 질타한다. 당시 좌파 학자들 사이에는 미군 폭격으로 베트남 어린이들이 죽어 가는 마당에 연구실에 앉아 정치 현실과 무관한 중세사 따위나 연구해서 무엇하겠냐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연구 주제도 ‘정치적 관련성’이 있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역사학에서도 고대사와 중세사는 쓸데없고, 근현대사만이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식이다.

요컨대 모든 사회주의 지식인은 ‘정치적 행동주의자’가 돼야 하며, 역사학은 정치 현실과 직접 연관된 분야로 연구 주제가 국한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제노비즈는 이들을 정치 과잉의 허무주의자, 몽상가로 규정한다. 허접한 삼류 지식인이라는 것이다. 인류 역사상 한 해도 베트남전과 같은 야만 행위가 자행되지 않았던 때가 없었음에도 표면적 현상에만 주목하는 건 근시안적 한계를 드러낼 뿐이라는 것이다.

제노비즈는 현존하는 야만주의가 국민 문화와 도덕성의 타락이라는 뿌리에서 자라난 곁가지에 불과하다고 봤다. 인문학 연구는 그 뿌리를 치유하는 활동이며,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에 맞서 싸우는 지식인이 맡아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라는 것이다. 그는 미국의 인문학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하고, 정치에 함몰돼 인문학 연구 활동을 위선으로 간주하는 지식인은 사실상 국민 문화 타락의 선봉에 서는 자라고 질타한다.

그는 사회주의 지식인이 보수·자유주의 진영에 맞서 오직 사회주의 처방만이 야만주의를 치유할 수 있다고 주장하려면 정치적 행동이 아닌 지식인으로서 창조적인 작업에 의해 그들과 겨뤄야 한다고 말한다. 인문학자의 노력은 아무리 정치 투쟁과 거리가 먼 온건하고 사소한 것일지라도 그 자체로서 ‘정치적 관련성’을 갖는다는 설명이다.

제노비즈에 따르면 문화와 인문학 연구는 국민 정신의 타락을 바로잡는 일이며, 그 자체가 최고의 정치 행위다. 이번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인사를 보면서 한국에서 ‘문화’가 얼마나 천덕꾸러기 신세인지 새삼 확인한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1-02-0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