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똑똑 우리말] 안전과 안정/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안전과 안정/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6-09 20:30
업데이트 2021-06-10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들어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 사고 뒤 신문과 방송에서는 ‘안전’과 관련된 말들이 이어진다. ‘안전 대책, 안전 불감증, 안전 관리, 안전 수칙….’ 이때는 ‘안전’과 ‘안정’을 혼동해 잘못 쓴 예를 찾기 힘들다. ‘안전’이 사고나 위험 등과 관련 있다는 것을 대부분 정확히 알고 쓴다. ‘안전’은 말 그대로 ‘편안하고(安) 온전한(全) 것’이다. 그러니 ‘사고’나 ‘위험’과는 거리가 멀다. ‘안전’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음.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한다.

몇 년 전 정부가 탈원전 정책 추진을 위해 원전 안전성 평가를 한다는 뉴스가 있었다. 한데 많은 기사에서 ‘안전성’ 대신 ‘안정성’이란 말을 사용했다. 세계 각국은 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 원전 중 평가를 통해 ‘안전성’이 입증되면 계속운전을 승인해 주고 있다. 즉 원전을 계속 운전해도 괜찮은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안전’과 관계가 있다. 그러니 ‘안정성’ 대신 ‘안전성’이 와야 한다.

올봄 ‘금배추’ 파동에 이어 ‘파테크’, ‘금달걀’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농축산물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달걀값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나 배추나 파는 예전 가격을 회복하고 있다. 즉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안정’은 ‘편안하고(安) 정해진(定) 것’이다. ‘바뀌어 달라지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함’을 뜻한다. ‘성장보다 물가 안정’, ‘전월세 안정’, ‘불황기에도 안정적 매출’, ‘안정된 주가’ 등처럼 쓰인다.

oms30@seoul.co.kr

2021-06-10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