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석년의 소통 가게] 두 거인의 죽음

[윤석년의 소통 가게] 두 거인의 죽음

입력 2020-07-14 17:38
업데이트 2020-07-15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석년 광주대 교수
윤석년 광주대 교수
사회 각계각층에서 소통 부재 현상이 만연해 있다는 사실이 무척 안타까워 ‘소통 가게’를 연다.

우리 사회는 정치적 이념에 따른 갈등, 갑과 을 간의 갈등, 지역 간의 갈등, 세대 간 갈등, 게다가 젠더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몇 달간 4·15 총선 부정 투표 시비, 김정은 사망 관련 가짜뉴스 논란이 대표적인 갈등 사례다. 급기야 지난주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극단적 선택과 백선엽 장군의 사망으로 이 같은 갈등은 증폭되고 있다.

정치권에서 두 거인(?)의 죽음에 대한 공방도 점입가경이다. 장례 절차와 조문을 둘러싼 이념적 갈등은 마치 조선시대 예송 문제로 당파 싸움을 벌인 양상을 쏙 빼닮았다. 한쪽은 인권변호사로서 이념적으로 진보 정계의 잠룡이었고, 다른 한쪽은 전쟁 영웅으로서 이념적으로 우익의 아이콘이었다. 하지만 세간의 평가는 첨예하게 갈린다.

박 시장은 인권변호사로 명성을 날렸고, 또 서울시장으로 재직하며 시정을 이끄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 그렇지만 정치적인 입장이 다르고 극단적 선택의 이면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는 정당들과 정치인들은 물론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들은 연일 박 시장의 죽음에 대해 미주알고주알 논란거리를 만들고 있다. 사실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피해자의 주장만을 볼 때 부적절한 행위로 비춰질 수도 있다.

백 장군은 6·25 전쟁 중 ‘다부동전투’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한 지휘관으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 진급과 전쟁 후 현재의 육군 체제를 완성했다는 업적을 남겼다. 대신에 일제강점기 만주군관학교를 나와 민족 의식조차 제대로 갖지 못한 전 일본군 장교로서 뚜렷한 친일 행적으로 비난을 함께 받은 인물이다.

더욱이 친일 행적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도 한 적이 없다. 국가 유공자로서 국립묘지 매장에 대한 논란의 중심에 서 있어서 천수를 누렸음에도 마지막 길이 결코 순탄하지는 않다.

두 사람의 죽음과 조문을 둘러싼 논란을 보면서 안타까움이 앞선다. 이념적 갈등, 세대 간의 갈등, 젠더 간의 갈등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현재의 갈등 형국이 자기 개인보다는 나라를 먼저 걱정했던 두 거인의 뜻은 분명 아닐 것이다. 장례식을 치르고 난 후 두 사람은 우리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분들로 기억될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인간들이 그렇듯이 많지는 않지만 허물이 없을 수 없다. 두 사람의 장례식을 지켜보면서 앞서 돌아가신 유명인들의 죽음을 둘러싸고 이처럼 갈등이 극명하게 드러난 적이 있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망자에 대한 예우까지는 아니더라도 굳이 이들의 죽음을 정쟁으로 이용하거나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서 비 온 날에 먼지 털 듯이 신상털기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스러운가.

평범한 삶을 살다 간 보통 사람들도 다소 흠이 있더라도 고인의 명복을 비는 게 도리다. 과오도 있지만 공적도 무시할 수 없다. 죽음은 인생의 종착역이다. 죽음 앞에서는 모든 것이 덮이고 후손들의 몫으로 남겨져야 한다.

한 시대를 풍미한 분들은 역사적 평가에 맡겨야 한다. 장례와 조문을 둘러싸고 ‘파고, 파고 또 파는’ 언론 보도와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도 않은 무분별한 유튜버들의 ‘추문 들추기’식 확대재생산은 우리 사회의 갈등을 부추길 뿐이다.

우리 사회의 갈등 조장에는 언론도 자유로울 수 없다. 전 세계에서 신뢰가 바닥권인 우리 언론은 세상의 온갖 갈등을 퍼 나르지만 말고 이제부터는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두 거인의 장례식을 치르는 와중에 연일 장맛비가 쏟아지는 이유가 궁금하다.
2020-07-1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