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구제역 후폭풍’ 먹거리 파동 대비하라

[사설] ‘구제역 후폭풍’ 먹거리 파동 대비하라

입력 2011-02-10 00:00
업데이트 2011-02-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 후폭풍이 매섭다. 80일 가까이 몰아치고 있는 구제역이 급기야 먹거리까지 위협하고 있다. 9일 현재 전국적으로 살처분된 돼지·소·사슴·염소 등 가축은 무려 3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재앙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 돼지는 살처분 가축의 95%에 달하고 있다. 구제역 발생 전 전국 돼지 사육 마릿수의 30%에 해당한다. 매몰된 3만 4000여 마리의 젖소 역시 전체 젖소의 7%에 이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쇠고기·돼지고기 값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가격까지 치솟고 있다. 관련 음식점들은 해당 메뉴를 없애거나 가격표를 가려놓는 현상마저 나타났다. 서민 생활이 한층 고달파졌다.

서민들이 즐기는 돼지 삼겹살값은 두배가량 올랐다. 지난 연말 대형 매장에서 100g당 980원 하던 삼겹살은 1680원에 팔리고 있다. 때문에 돼지고기가 쇠고기 판매가격을 웃도는 기현상도 나오는 실정이다. 족발이나 돈가스·순대 등의 음식값도 덩달아 급등, 메뉴판을 바꿔 놓았다. 물량 확보를 못해 임시휴업에 들어가는 음식점도 생겨나고 있다. 쇠고기값도 인상됐다. 우유 수급엔 비상이 걸렸다. 원유 생산량이 10%가량 줄어 공급 차질이 현실화된 것이다. TV에서 우유 광고는 자취를 감췄다. 다음 달 새학기와 함께 학교 급식이 시작되면 우유 수요가 10%가량 늘어나 실질적인 혼란에 직면할 전망이다. 자칫 ‘우유 대란’이 우려되는 이유다.

관계 당국은 구제역 후폭풍인 먹거리 대책을 종합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난해 가을 전국을 강타한 ‘배추 파동’을 재현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구제역을 막는 데 전력하느라 먹거리 문제까지 신경 쓰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식의 변명은 설득력이 없다. 돼기고기가 식용으로 시장에 나오려면 6개월이 걸린다는 등의 안이한 대처는 국민을 실망시킬 뿐이다. 물가관리, 특히 서민의 밥상물가를 챙긴다는 차원에서 총체적인 대응을 하기 바란다. 물론 양돈·축산 협회나 유통업계도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국민도 한시적 소비 자제와 같은 노력에 동참해야 함은 당연하다. 후폭풍까지 극복해야만 구제역 재앙이 종식된다는 점을 모두가 인식해야 할 것이다.
2011-02-10 3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