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대학사회 ‘갑을 관행’과 적폐 뿌리 뽑을 때

[사설] 대학사회 ‘갑을 관행’과 적폐 뿌리 뽑을 때

입력 2014-07-12 00:00
업데이트 2014-07-12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도덕성 논란은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갑을 관행’의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줬다. 지난 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드러난 김 후보와 관련한 의혹은 논문 표절과 칼럼 대필, 연구비 부당 수령, 경력 부풀리기 등 가히 ‘비리 종합세트’라 할 만하다. 오죽하면 여권에서도 부총리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는 평을 내놓겠는가. 김 후보자가 몸담고 있는 학계에서조차 고개를 가로젓는다. 제자의 석·박사 학위 논문에는 숟가락을 올리지 않는다는 학계의 불문율을 깼기 때문이다.

1970년대 고속성장의 부작용인 정·관·재계 유착과 각종 부정부패는 2000년을 전후로 크게 개선되기 시작해, 지금 우리는 이른바 ‘김영란법’ 도입 등을 위해 노력하는 등 투명한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 어느 부문보다 도덕적이어야 할 학계에 여전히 갑을 관행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국민을 당혹게 하기에 충분하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 ‘부의 미래’에서 ‘기업은 100마일로 달릴 때 교육은 20마일로 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만큼 학계가 사회적 지체 현상을 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지식이 ‘변화의 칼’이 되기 위해서는 학계 스스로 뼈를 깎는 고통을 감수하며 적폐 청산에 솔선수범해야 한다.

대학원생쯤 됐으면 교수의 부당한 갑질에 당연히 저항해야 하지 않느냐고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박사 학위 논문 심사에서 지도교수의 역할이 절대적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갑을 관행’ 폐지의 주체는 학생이 아니라 교수가 돼야 마땅하다. 학생으로서 교수가 수행하는 정부·기업의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리려고 애쓰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고려대 일반 대학원 총학생회가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논문·연구 관련 비리를 겪어봤다는 응답이 전체 417명 중 138명으로 33%에 달했다고 한다. 교수들은 제자를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은 제자의 실적을 채워줘서는 안 된다. 또한 외부 프로젝트에 참여한 제자들에 대해 인건비 등을 철저하게 지급해야 한다. 논문작성의 방향을 지도하는 수준을 넘어 자질 없는 제자에게 학위를 부여하는 학위 장사도 이제는 끝내야 한다. 더 이상 불필요한 학력 인플레이션을 유도해서는 안 된다. 대학원생들 또한 석·박사 학위 취득이나 이후 시간·전임 강사 자리를 얻고자 지도교수가 자신의 논문을 표절하는 것에 침묵해선 안 된다. 지도교수의 논문을 대필해줘서는 더욱 안 된다. 군사부일체와 같은 유교적 개념이 채 사라지지 않은 한국에서 대학교수에 대한 존경과 기대는 대단히 높다. 개각 때마다 국무총리나 장관 후보에 교수들이 서너명씩 지명되는 것도 그런 이유다. 국민의 기대에 걸맞도록 학계가 더 노력해야 한다.
2014-07-12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