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밥상 물가 급등에 서민은 고통스럽다

[사설] 밥상 물가 급등에 서민은 고통스럽다

입력 2017-02-03 22:44
업데이트 2017-02-04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가가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고충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 달걀, 채소 등 밥상에 올려지는 각종 농축산물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경기 호전의 신호탄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당장 수입이 늘어날 리 없는 서민들에게는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 상승했다. 2012년 10월 이후 4년여 만의 최대치라고 한다. 대개 물가가 오르는 것은 경기가 좋아진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가계와 기업 등의 수입이 늘어나면 소비가 늘어나 물가가 오른다는 게 일반적인 이론이다. 하지만 작금의 물가 오름세는 그대로 두고만 볼 수 없는 이유가 있다. 경기 호전에 대한 기대감에 앞서 밥상 물가의 급등으로 서민 생활의 고충이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의 여파로 지난달 달걀값은 1년 전보다 무려 61.9%나 올랐다. 미국과 스페인 등에서 긴급 수입해 상승세를 진정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평년보다 50% 이상 높다. 무는 113%, 배추는 78%, 당근은 125%나 폭등했다. 한우와 삼겹살 가격도 평균 10% 이상 올랐다. 게다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휘발유값, 대중교통 요금, 지자체의 하수도 요금 등 공공서비스 요금의 인상을 고려하면 서민들의 주름살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반면에 전반적인 경기 불황이 계속되면서 청년 실업난에 김영란법의 영향 등으로 자영업자와 서비스업 종사자들마저 일자리를 잃는 현상이 겹쳐지고 있다. 당연히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지수는 통계청 발표보다 훨씬 더 높을 수밖에 없다.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서민들의 푸념은 틀린 게 아니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범정부 비상경제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공공요금 등 민생물가를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지만 결국 공염불에 그쳤다. 특히 밥상 물가 관리에는 정부가 동력을 잃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졌다. 그제 열린 경제현안점검회의에서는 앞으로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물가안정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믿음이 가질 않는다. 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나 농수산물과 식품의 수급이라도 제때에 조절해서 서민 생활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 주기를 바란다.
2017-02-0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