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사적 공간 존중이 절실한 때/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기고] 사적 공간 존중이 절실한 때/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입력 2020-03-17 22:04
업데이트 2020-03-18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이내찬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최근 국내에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려되고 있다. 타인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하자는 취지로 중요성은 수백 번 되풀이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2015년의 메르스 사태의 주요 감염원은 친지의 병문안이었다. 이참에 우리의 습성을 되돌아보고 변화하는 계기가 됐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원래 이는 다른 사람의 사적 공간을 존중해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개념이다. 미국의 인류학자 홀은 이를 자신만의 영역이라고 느끼는 물리, 정서적 공간으로 침범당했을 때 심리적 불편함이나 불안감, 분노를 느끼게 되는 친밀한 영역(15~46㎝)으로 정의한다.

우리의 문제는 상대방의 사적 공간을 침범하듯 서슴없이 드나든다는 것이다. 사람이 일시적으로 붐비는 승강기에서는 서로의 거리가 좁아지면 부득불 사적 공간이 침해된다. 이때 선진국이라면 서로 닿지 않으려고 팔을 최대한 몸에 밀착시키고 일행끼리도 대화를 멈추는 것이 통상적이다. 반면 우리는 승강기에 머무는 시간이 10초 남짓할 터인데 그새를 못 참고 스마트폰 통화를 해대고 대화가 끊기지 않는다. 사적 공간의 침해는 심리적으로도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을 만났을 때 처음 물어보는 것이 나이, 그다음이 결혼 여부다. 선진국에서라면 낯선 상대방이 자신의 공간에 들어오는 것을 원치 않아 결코 편치 않은 질문이다.

사적 공간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상대방의 존재에 대한 인지와 자신의 행동이 상대방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그렇기에 자신은 최종적으로 어떤 행동을 선택해야 하는가라는 ‘2단계 사고’가 필요하다. 상대방이 안중에 없는 우리 습성은 사회문화적 특성에서 연유한다. 의사 결정과 책임의 주체가 ‘나’인 서양의 개인주의 사회와 달리 내집단 속의 ‘우리’에 자신을 투영한다. 장점은 사랑이 가족, 사회관계, 만물과 정치에 두루 퍼져야 한다는 유교의 가르침대로 내집단의 외연을 확대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사적 공간의 존중은 바이러스 감염 방지나 사회적 질서의 유지가 원 목적이 아니다. 이는 타인의 안전 영역 확보와 쉼이라는 삶의 질을 침범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면 사회적 안녕은 자연스럽게 수반된다.

2020-03-18 3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