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신춘을 준비하는 만추/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신춘을 준비하는 만추/김이설 소설가

입력 2020-11-11 17:32
업데이트 2020-11-12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근래 책이 출간돼 동료와 선후배들에게 책을 보낼 일이 많았다. 우체국 출입도 잦았고, 그 덕에 제법 가을 산책도 즐겼다. 그런데 한 달여간 우체국을 들락거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옛 기억이 떠올랐다.

10여년간의 습작 시절 동안 매년 봄·가을에는 문예지 신인상에, 겨울에는 신문사 신춘문예에 응모를 했다. 1년 동안 공들여 쓴 예닐곱 편 소설을 신문사나 출판사에 보냈다. 10년간 습작 시절이었단 말은 그만큼 낙선을 경험했다는 뜻이기도 한데, 20대를 전부 소설가가 되기 위해 살았다고 할 수는 없어도 분명 내 청춘의 대부분이 소설가가 되기 위한 시간이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참 무던히 쓰고 무수히 응모하고 매번 떨어지던 시절이었다.

어느 해였던가. 마감 날짜가 촉박해 응모 원고를 들고 신문사로 직접 찾아간 적이 있었다. 붉은 글씨로 ‘신춘문예응모작’이라고 쓴 서류 봉투를 품에 안은 나는 담당자가 무심히 가리킨 창고를 열어 보고는 기함을 했다. 노란 플라스틱 바구니마다 그득그득 쌓인 서류 봉투가 산을 이루고 있었다.

수많은 작품들 위에 내 작품 하나를 올려놓고 나오는데, 눈물이 뚝 떨어졌다. 이렇게 작가가 되고 싶은 사람이 많다니. 이 많은 원고 중에 내 원고가 눈에 띌 수나 있을까. 그저 막막했다. 어쩌면 엄청난 원고 더미에 압도당해 기가 죽었을 수도, 그해 겨울이 유난히 추워서 몸과 마음이 다 시렸기 때문일 수도 있다.(그 이후에는 어떻게든 우편접수로만 응모했다.)

최근 출간한 내 책에 시인이 되고 싶은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는 이렇게 읊조린다. ‘시인이 되기 위해서 임용고시처럼 일종의 시험을 치르는 것이 등단이냐고 그 사람이 물은 적이 있었다. 나는 아니라고 대답했다. 등단을 하지 못하면 시인이 못 되는 것이냐고도 물어서 그것도 아니라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등단이라는 걸 꼭 할 필요는 없는 것이구나,라고 동의를 구했을 땐 조금 복잡한 문제라고 대답했다.’(‘우리의 정류장과 필사의 밤’)

신춘문예나 신인상 공모 등의 등단 제도에 문제가 많다는 목소리가 크다. 최근에는 등단 제도를 거치지 않고 새로운 플랫폼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들도 많다. 그럼에도 신인상이나 신춘문예 응모작 수는 계속 증가한다니, 작가가 되고 싶은 이는 세월이 흘러도 여전하다는 것만은 확실하겠다.

각 신문사의 신춘문예는 12월 초가 마감이니, 11월 중순인 지금은 아마 전국의 문청들이 가장 뜨거운 밤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가장 마땅한 언어를 고르고, 가장 정갈한 문장으로 다듬고, 가장 보기 좋은 글로 완성짓느라 가을에서 겨울로 변하는 것도 잊은 채 원고만 보고 있을 터다. 그들은 모두 다른 글을 쓰고 있겠지만 당선되기를 바라는 간절함만큼은 모두 똑같을 것이다.

최종심에 한 번도 오른 적 없던 내가 당선 소식을 들은 건 신춘문예에 응모를 시작한 지 딱 10년 만의 일이었다. 시상식에서 나는 이렇게 당선 소감을 말했다. ‘누구도 억지로 시키지 않은 길을 가겠다고 나선 길이니, 절대 멈추지 않고 끝까지 쓰겠습니다.’ 떨리는 목소리로 그 말을 한 지 어느새 15년이 다 돼 간다. 그런데도 지난하던 시절이 떠오를 때마다 나는 아직도 가슴이 할랑댄다. 무수한 밤을 새우며 소설을 쓰고 토할 정도로 퇴고를 보던 시절, 출력한 원고를 넣은 봉투에 떨리는 손으로 신문사 주소를 적던 시절, 새해 첫날 새벽부터 집을 나서 신문을 사들고 와 다른 이들의 당선작을 훔쳐 읽던 그 시절.

올가을, 우체국을 다니며 그 시절에서 멀리 온 것 같지만 따져 보면 그 시절에서 한 발자국도 떠나오지 못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던 건, 아무래도 내 소설이 여전히 여물지 않은 까닭은 아닐까. 나는 떨어지는 잎을 보며 문득 송구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2020-11-1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