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In&Out] 유튜브에서 탈락할 유튜버들은 누군가/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글로벌 In&Out] 유튜브에서 탈락할 유튜버들은 누군가/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입력 2020-02-11 17:30
업데이트 2020-02-1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지난달 칼럼에서 유튜브와 기성 언론을 비교하고, 새 매체 유튜브는 어디로 가는가에 내 나름대로 답변했다. 압축된 글을 쓰다 보니 전달 내용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인터넷 댓글에서 확인했다. 다시 요약하면 새 매체 유튜브는 기성 언론을 개혁하고, 유튜브의 다소 무질서한 모습은 조만간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튜브가 질서화하는 과정에서 모든 유튜버들은 살아남을 것인가? 이번 칼럼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방송사는 대중에게 사랑받은 예술가들 위주로 방송 영상물을 만들고, 광고주들은 그 제작물을 많은 사람들이 볼 것이라고 추정되는 만큼 광고를 게재한다. 여기서 나오는 돈의 일부가 예술가들에게 출연료로 가고, 나머지는 방송사에서 인건비나 운영비로 처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술가는 예술의 질을 높이는 데만 집중하면 된다.

유튜브도 비슷한 구조다. 유튜브는 광고주로부터 돈을 받고, 그 돈의 55%를 콘텐츠 제작자인 유튜버에게 준다. 예술가와 그 예술을 좋아하는 대중 사이에는 직접적인 돈거래가 없다. 예술가와 대중 사이에는 불편한 관계가 생길 일이 없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일부 유튜버들이 유튜브로부터 받은 광고료가 부족하다며 채널의 일부 콘텐츠를 유료로 바꾼다든가, 채널의 구독수를 이용해 채널에서 상품을 판매한다. 이런 방법들은 유튜버와 그 채널의 구독자 사이에 불편한 관계를 만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기 구독자의 자본을 목표로 삼고 유튜브 채널을 지나치게 상업적으로 이용한 유튜버들이 이 과정에서 몰락할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에는 여러 유형의 채널들이 있다. 분류하자면 첫째, 엄청난 자본력이 있는 채널이다. 이미 대규모 자본으로 콘텐츠를 생산한 기업, 즉 방송사나 외주업체들의 채널로 유튜브 시장에서 밥그릇 문제가 없는 채널들이다. 둘째, 단체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채널들로 애초 끈끈한 조직 분위기를 유지하는 만큼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한 오래갈 채널들이다. 셋째, 취미나 학문용으로 비디오 블로그를 찍은 채널들로 현재 골프TV나 바둑TV처럼 갈 것이다. 마지막 유형은 1인이 매일 주제를 무작위로 정해 찍은 비디오 블로그로 구성된 채널들이다. 이 채널들이 제일 빨리 몰락할 위기에 있다.

한 채널이 오직 한 유튜버에 의존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다. 매주 새로운 주제를 찾아서 영상을 찍는 것이 힘들다. 언젠가 그 한 명의 상상력은 고갈돼 갈 것이고, 재충전하는 시간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유튜브 시장은 끊임없이 생산해 내야 한다. 그러지 않고 중간에 중단하면 그 채널에 큰 불이익을 준다. 그리고 유튜버들에게 기성 미디어에서 방송 섭외가 오면 그들은 채널 운영이나 전통 미디어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럴 때는 전통 미디어를 선택하는 경우가 제법 많다.

사실 1인 방송을 하는 유튜버들에겐 다른 문제가 더 있다. 필자가 유튜브를 그만둔 유튜버들과 인터뷰를 해보니 일상을 즐길 수 없다는 증언을 많이 듣게 됐다. 신기한 현상을 목격하면 무조건 그것을 촬영해야 하니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삶의 재미를 잃게 되고, 공과 사를 상실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족과 아름다운 바닷가에 갔는데, 그 시간을 가족과 함께 즐기지 못하고 유튜버로서 촬영해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고 그 순간 제대로 즐기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촬영하다가 가족과 싸운다든지 하는 바람직하지 않는 상황들이 종종 벌어지기도 한다고 했다.

인터넷 시청자 시장은 시청자의 15% 정도를 넷플릭스 등의 플랫폼에 빼앗겼다. 유튜브도 그 나름대로 진보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질서적인 플랫폼으로 변해 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몰락하는 유튜브 채널이 적지 않다. 아직 유튜브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길 바란다.
2020-02-12 3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