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노동과 근로 사이

[이경우의 언파만파] 노동과 근로 사이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5-03 23:02
업데이트 2020-05-04 0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름은 은유다. 모든 이름이 다 은유다. ‘내 마음은 호수요’는 ‘내 마음’에 새로운 이름 ‘호수’를 붙인 은유다. 은유의 결과로 상대는 ‘내 마음’을 알고 이해를 넓혀 간다. 그러고 보면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각각의 대상을 구별해 이해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그래서 끊임없이 이름들이 붙어 간다. 어떤 이는 자기 ‘마음’에 ‘갈대’라는 이름을, 어떤 이는 ‘바람’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이처럼 저마다의 이름은 단순히 부르기 위한 용도가 아니다. 더 중요한 목적은 상대와 사물을 구별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그러니 모두의 이름이 은유다. 그 이름들에는 뜻이 있고, 소리와 울림들이 각기 다르게 있다. 이것들은 은유의 도구가 된다.

이름은 사람이나 사물, 그 주변에만 해당하지 않는다. 사건이나 사실, 현상에도 이름이 붙는다. 이때는 이것의 내용과 관련 있는 표지가 이름으로 선택된다. 사실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름이어야 한다는 약속들이 있다. 공자의 ‘정명’, 즉 이름을 바르게 하는 것은 이런 약속을 다짐하듯 정리한 것이라 할 만하다. 그는 정치를 할 때도 ‘정명’을 가장 먼저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래야 사회의 질서가 유지되고 사람들이 구실을 제대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었다. 국제적인 용어는 ‘노동절’이다. 전 세계 노동자들이 서로 연대하며 단결하고 권익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날이다. 그래서 우리도 한때는 ‘노동절’이라는 이름으로 노동의 의미와 가치를 새기며 이날을 기념했다. 그러다 1963년 ‘근로자의 날’로 바뀌어 지금까지 이어 오고 있다.

‘근로’가 가진 사전적 의미는 “부지런히 일함”이다. ‘부지런히’라는 가치가 들어 있다. 가치중립적이지 않고 사용자 중심의 용어라는 비판을 받는다. 거기에다 ‘근로자’는 자영업자, 주부, 농민 등 모든 노동자를 담지 않는다. 우린 ‘일하러 간다’고 하지 ‘근로하러 간다’고 말하지 않는다.

‘노동’은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를 뜻한다. ‘노동’에는 일하고 노동하는 가치까지 담고 있다. 그렇지만 ‘근로’에는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씌어져 있고, ‘노동’에는 무겁고 어두우며 부정적인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다. 노동자들의 연대를 달가워하지 않고 노동의 가치를 외면하려는 시선들이 낳은 결과다.

현상과 현실을 올바르게 반영한 언어가 공감을 얻는다. 이런 은유라야 소통할 수 있다.

wlee@seoul.co.kr
2020-05-04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