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성인지감수성 부족의 ‘그녀’

[이경우의 언파만파] 성인지감수성 부족의 ‘그녀’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5-17 21:54
업데이트 2020-05-18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다른 나라 얘기 하나. 프랑스 사람들의 프랑스어 보호는 별난 데가 있다. 1994년에는 ‘투봉법’까지 만들어 광고와 상표에서 프랑스어 사용을 의무화했다. 이를 어기면 벌금을 문다. 프랑스어에 대한 자부심 또한 넘쳐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분위기를 만든 데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공이 크다. 1635년 설립된 이 국가기관은 오랜 전통만큼이나 권위를 자랑한다. 프랑스어를 빛냈다고 인정받은 회원 40명으로 구성돼 있다. 남성 중심이고 모두 종신이다.

이 아카데미 프랑세즈가 최근 코로나19를 가리키는 ‘코비드19’(covid19)를 여성명사로 규정했다. 프랑스어로 ‘질병’을 뜻하는 ‘말라디’(maladie)가 여성명사라는 게 근거였다. 그러나 언론 등 프랑스 사회에서는 ‘코비드19’를 이미 남성명사로 사용하고 있었다. 프랑스어 ‘비루스’(virus)가 남성명사였기 때문이었다.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우리말에서 ‘그녀’는 애초 성차별적 논란의 대상은 아니었다. 삼인칭대명사로 적절하냐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1965년 ‘현대문학’ 3월 호에서 ‘그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국어학자와 문인들의 의견을 듣고 설문조사를 했다. ‘그녀’가 널리 퍼져 있었지만, 거부감도 꽤 있던 시절이었다.

반대하는 쪽에서는 ‘그녀’가 일본말 ‘가노조’(皮女)를 흉내 냈다고 밝혔다. ‘그녀는’을 말로 할 때는 ‘그년은’과 발음이 같아 욕설이 된다며 거부감을 드러냈다. 찬성하는 쪽에서는 ‘그녀’가 귀에 거슬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됐다고 했다.

작가들은 작품에서 ‘그녀’를 가장 많이 쓴다고 답했다. ‘그’와 ‘그여’ ‘그 여자’ ‘그미’ ‘그네’ ‘그니’ 같은 표현을 쓴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후에도 ‘그녀’에 대한 문제제기는 꾸준히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이제 우리 국어사전에 당당히 올라 있다. 언론과 출판의 지원을 받으면서 더욱 넓게 쓰인다. 하지만 우리말에 완전히 녹아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상의 대화에서는 아예 쓰이지 않는다. 말할 때는 ‘그녀’ 대신 ‘그 여자’ 또는 기타 다른 표현이 사용된다. 글에서만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묻어 들어갔을 뿐이다. 글에서라고 모든 여성을 가리키지는 못한다. 어린이, 어머니, 할머니를 가리켜 ‘그녀’라고 하지는 않는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그녀’가 여성에게만 붙이는 표현이어서 성차별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미망인’이 높이는 표현 같지만, 어원이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고, 여성에게 사용되는 차별적 표현이라는 비판을 받듯이.
2020-05-1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