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낮추는 말 ‘월급쟁이’

[이경우의 언파만파] 낮추는 말 ‘월급쟁이’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7-26 20:38
업데이트 2020-07-27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상대를 높이는 것도 소통의 한 방식이다. “선생님”이라고 높여 부르는 건 상대를 존중한다는 표시다. 동시에 나는 당신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라고 열어 놓는 것이기도 하다. 자신을 낮추는 것도 그렇다. ‘나’ 대신 ‘저’라고 자신을 낮추는 말은 반대로 상대를 높이는 게 된다. 이렇게 해서 소통을 시작하는 문이 열린다. 정도와 상황의 차이는 있겠지만, 언제 어디서나 그래 왔다.

‘미망인’(未亡人)이라는 기록이 처음 나오는 시절에도 그랬다. 중국 초나라 문왕의 부인은 문왕이 죽자 자신을 ‘미망인’이라고 낮춘다. 당시 최고위직인 영윤이 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행사를 치르자 “영윤은 적을 치는 데는 생각이 없나 보다. ‘미망인’ 곁에서 이러고 있으니”라고 말한다. ‘미망인’이 “아직 (남편을)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란 뜻이니 지금 같으면 나올 수 없는 말이다. 하지만 그때는 그게 미덕이었다. 자신을 낮춘 말로 당시 세상과 소통한 것이다.

‘장이’에서 나온 말 ‘쟁이’는 대상을 낮잡아 이르기도 한다. 글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얕잡아 부르거나 가리킬 때 ‘글쟁이’라고 한다. 화가에게는 ‘그림쟁이’ 혹은 ‘환쟁이’라고도 한다. ‘관상쟁이, 뜸쟁이, 이발쟁이, 갓난쟁이, 게으름쟁이, 멋쟁이, 겁쟁이, 수다쟁이…’의 ‘쟁이’들도 대상을 낮춘다.

많은 직장인들이 속한 ‘월급쟁이’의 ‘쟁이’도 다를 바 없다. 그렇지만 더 자주 쓰여서 그런지 도처에서 ‘낮춤’의 의미를 의식하지 않는 듯하다. 때와 장소를 구별하지 않고 월급을 받고 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일상어처럼 돼 버렸다. 월급을 받는 자신은 물론 상대, 제삼자까지 흔하게 ‘월급쟁이’라고 말한다.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겉으로는 별다른 거부감을 드러내지 않는다. ‘월급생활자’나 ‘봉급생활자’ 같은 말들은 멀어져 간다.

스스로 ‘월급쟁이’라고 낮추는 것과 막역한 사이끼리 “월급쟁이가 뭐” 하며 주고받을 때 ‘월급쟁이’는 더 나은 소통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공식적인 공간에서 상대에게 전하는 ‘월급쟁이’는 거리를 두고 보면 적절한 말이 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상대를 중립적인 말로 대하는 것도 아니고 낮춰 말하는 것이다.

삼인칭으로 가리켜 말할 때도 달라질 건 없다. 역시 상대가 거리낌 없는 사이라면 이해하고 넘어갈 수도 있다. 그렇지 않다면 그를 비하하는 말이 된다. 언론매체들도 월급을 받는 직장인을 가리켜 주로 ‘월급쟁이’라고 표현한다. 그렇다고 월급을 받고 생활하는 모든 이들과 막역해서는 아닐 것이다.
2020-07-27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