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가구와 세대

[이경우의 언파만파] 가구와 세대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5-30 22:00
업데이트 2021-05-31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나도 입으로 말할 때는 거의 ‘작년’이다. 그러나 글에선 ‘작년’ 대신 ‘지난해’로 바꾼다. 신문 문장을 다듬을 때는 ‘지난해’를 원칙처럼 따른다. ‘작년’이 한자어이니 가능하면 고유어인 ‘지난해’로 바꿔 쓰자는 의식이 작용해서는 아니다. ‘작년’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오래된 신문들에선 오랫동안 ‘지난해’가 더 표준어처럼 작동했다. 그렇다 보니 많은 기사들에서 ‘작년’은 자연스레 ‘지난해’로 바뀌어 나간다. 아니면 처음부터 ‘지난해’로 씌어진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에서 올해 기사를 검색하면 30일 현재 ‘작년’은 3만 546건의 기사에서 보이고, ‘지난해’는 19만 5869건에서 나타난다.

언론매체들은 ‘작년’처럼 ‘금일’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어쩌다 ‘금일’이라고 쓰인 원고가 보이면 쉽게 ‘오늘’로 수정된다. ‘금년’도 ‘올해’로 수정되는 게 당연시된다. 애초부터 대부분 ‘올해’라고 쓰는 일이 더 많다.

‘세대’도 그런 말 가운데 하나다. ‘가구’와 같은 말로 쓰이는 ‘세대’도 언론매체들은 대부분 ‘가구’로 바꾼다. ‘세대’와 ‘가구’는 똑같이 한자어이지만, ‘세대’는 일본식 한자어라는 굴레가 씌워져 있었다. 국어사전에는 ‘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가구’와 동의어로 올라 있다. 그렇지만 언론매체에서는 ‘가구’가 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2019년 기준 전체 10가구 중 3가구(30.2%)가 1인가구”라고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언론매체들은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30.2%가 1인가구라는 사실을 전했다. 지난 4월에는 행정안전부 보도자료를 인용해 “올 들어 1인가구가 910만 가구(39.5%)를 돌파했다”고 알렸다. 불과 1년 정도 사이에 1인가구가 9.3% 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사실이 아니었다.

통계청은 언론매체처럼 ‘가구’라고 표현한다. 행정안전부는 ‘가구’가 아니라 ‘세대’라고 한다. 한데 통계청과 행안부는 ‘가구’와 ‘세대’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통계청의 ‘가구’는 생활 단위 개념으로 이 말을 쓴다. 혼자 살림하며 살면 1인가구고, 둘이 살면 2인가구다. 행안부의 ‘세대’는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한다. 혼자 살며 독립된 세대주라면 ‘1인세대’가 된다. 홀로 세대 분리를 한 경우다. 세대 분리를 한 세대주 2명이 한 가구에 살 때 통계청 조사에서는 ‘2인가구’가 되지만, 행안부 자료에는 두 개의 ‘1인세대’로 기록된다.

‘세대’는 ‘지난해’처럼 자동으로 ‘가구’라 하면 문제가 생긴다. 용어와 개념의 정확한 정리가 필요하다. 혼란과 오해를 가져온다.
2021-05-31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