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혀를 내두르다’는 관용구/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혀를 내두르다’는 관용구/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01-27 00:00
업데이트 2014-01-27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혀를 내두르다’란 표현을 흔히 쓴다. ‘무릎을 탁 쳤다’와 마찬가지로 감탄을 하거나 예상 밖의 상황을 만났을 때에 쓰는 관용구다. 그런데 무릎을 치는 행위와 달리, 혀를 내두르다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의 혀를 좌우로 또는 위아래로 흔들기에는 그것이 개구리나 소의 혀처럼 길지 않기 때문이다. 혀를 내민 뒤 고개를 도리도리로 흔들어야만 ‘혀를 내두르다’는 표현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유래는 어딜까. 낯이 두꺼워 몹시 뻔뻔하다는 의미의 후안(厚顔)처럼 한자의 근원을 찾아보았다. ‘토설’(吐舌)이 가장 가깝다고 고전번역학자가 알려왔다.

‘토설’은 한국문집이나 왕조실록 등의 고전자료에 많이 보인다. ‘선조실록’에 나오는 ‘견지자실색 문지자토설’(見之者失色 聞之者吐舌)이 ‘보는 자는 안색이 변하고 듣는 자는 혀를 내두른다’로 번역된다. 8세기 당나라 한유의 ‘송궁문’(送窮文)에도 ‘토설’이 나온다. ‘혀를 내두르다’의 근원을 찾아 겨울철 짧은 하루 해를 다 보냈지만, 유장한 역사를 알게 된 보람찬 하루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1-27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