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이판승 사판승/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판승 사판승/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3-11-12 00:00
업데이트 2013-11-1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막다른 상황이 몰려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을 때 입에 담곤 하는 ‘이판사판’은 뜻밖에 불교에서 비롯된 말이다. 산중에서 수행을 전념하며 불교의 이치를 좇는 스님을 이판승(理判僧), 땅을 일구거나 세상과 소통하며 절의 살림을 책임지는 스님을 사판승(事判僧)이라고 한다. 그런데 둘을 합친 ‘이판사판’의 쓰임새는 본래의 뜻과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어 보이니 재미있는 일이다.

이판과 사판의 역할 구분이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불교가 극심한 탄압을 받으며 깊은 산중으로 들어가게 되자 스님들이 자연스럽게 소임을 나누어 갖게 됐다는 것이다. 치열하게 수행을 이어가 학덕(學德)을 두루 갖춘 이판승은 세상의 존경을 받지만, 그들의 수행을 묵묵히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는 사판승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후하지 않은 것이 세상 이치이다. 둘 사이의 갈등이 점차 깊어지면서 ‘이판사판’ 같은 분위기도 없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판과 사판의 역할 구분은 특정 시기에 국한되지 않았을 것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성립된 때부터 지금까지 이판승의 치열함이 없었으면 불법의 계승과 발전은 없었을 것이고 사판승의 노고가 없었으면 작게는 절 살림, 크게는 불교 종단의 유지부터 어려웠을 것이다.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종단인 조계종 역시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에 이르는 기간 이판 비구승이 사판 대처승을 대체하며 선방(禪房)을 장악해 나갔지만, 누군가는 다시 사판의 소임을 맡아 경제를 책임지는 역할을 해야 했다.

이판과 사판에 앞서 보편적으로 쓰이던 용어가 내호반(內護班)과 외호반(外護班)이다. 1928년 작성된 금강산 유점사의 용상방(龍象榜)에도 같은 뜻으로 내무원(內務員)과 외무원(外務員)이 보인다. 용상방이란 동안거나 하안거 결제 때 직위에 따른 소임을 적어 붙인 벽보이다. 내무원은 참선, 외무원은 선원 운영을 외곽에서 지원하는 역할이라고 명시했다. 자연스럽게 내무원의 윗자리에는 회주나 조실, 외무원의 윗자리에는 주지나 원주의 이름이 적혔다.

지난 금요일 조계종의 제34대 총무원장 취임식이 있었다. 종정이 이판승의 상징이라면, 총무원장은 사판승의 수반이다. 연임 총무원장으로 과제가 무엇인지는 자승 스님이 가장 잘 알 것이다. 진제 종정은 “화합이 근본이니, 자승 스님을 중심으로 이(理)와 사(事)가, 승(僧)과 속(俗)이 원융화합을 이루어 존경받는 한국불교가 되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이판·사판의 구분이 분명치 않은 시대 불교의 이미지는 사판이 좌우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1-12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