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유커의 명암/구본영 논설고문

[씨줄날줄] 유커의 명암/구본영 논설고문

입력 2014-12-03 00:00
업데이트 2014-1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명동엔 패스트푸드점들이 사라지고 중국 관광객(유커·遊客)을 위한 화장품 가게들이 하나둘 들어서고 있단다. 제주 신시가지의 이름 없는 상점가는 중국 바오젠그룹의 대규모 포상 관광단이 다녀간 뒤 ‘바오젠 거리’란 이름이 붙었다. 어딜 가나 넘쳐나는 유커가 이제 상권 지도까지 바꾸고 있다.

중국 관광객들이 최대 인바운드 시장을 형성한 지 오래다. 올 한 해 방한하는 유커는 600만명에 이를 참이다. 그래서 미군이 떠난 이태원은 을씨년스럽지만, 일본인들이 줄어든 명동은 아직 흥청거리고 있다. 유커들이 지난해 한국을 찾아 뿌린 돈이 약 7조 6000억원이라니 그 위력이 실감난다. 하지만 중국인의 입장에서는 한국 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약하다. 올해 연인원 1억 1000만명이 넘는 중국인이 해외 방문에 나설 것으로 추계된다.

물론 중국을 상대로 한 관광산업의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 2013년 중국의 민간 소비는 국내총생산(GDP)의 36%(미국의 경우 70%)에 그쳤다. 엄청난 속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중산층의 급증으로 중국의 민간 소비, 특히 해외 관광 등 서비스 소비의 확대 가능성을 예고하는 지표다. 우리가 하기에 따라 ‘유커 600만명 시대’를 뛰어넘는 새 이정표를 세울 수 있다는 뜻이다. 유커를 위한 관광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하는 걸 전제로 해서다.

관광지마다 무자격 관광 가이드가 판을 치고 있는 현실이 그래서 걱정스럽다. 어제 아침 경복궁 한편에서 엉터리 중국어 관광 가이드가 “한글은 세종대왕이 궁궐 창문을 보고 만든 ‘창문 글자’”라고 해설하는 기사를 읽었다. 한글이 인체의 발성기관을 본떠 창제된 사실을 알 리 없는 유커들이야 고개를 주억거렸겠지만, 관광산업을 담당하는 당국자들은 가슴을 쳐야 할 일이다.

유커 증가는 반길 일이지만 ‘중국 편식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핀란드화’(Finlandization)란 말을 곱씹어 보자. 냉전 시기 옛 소련을 이웃에 뒀던 핀란드인들은 대체로 모욕적으로 받아들이는 용어다. 강대국을 이웃한 중소 규모 국가가 아무런 지렛대 없이 늘 강대국의 이해관계를 고려해 자국의 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을 말한다.

우리의 관광산업도 중국으로부터 얻는 ‘이웃효과’를 극대화하되 부작용은 최소화해야 한다. 돈벌이에만 급급해하는 싸구려 관광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유커 머릿수만 세는 저품질 관광은 중국의 관광정책이 바뀌면 한순간에 ‘훅 갈 수도 있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를 상대로 한류든, 전통문화든 정체성과 격조 있는 문화를 파는 관광을 추구해야 할 이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4-12-03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