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시간의 자취/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시간의 자취/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12-09 00:00
업데이트 2014-12-09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력(陽曆)은 과학적이고, 음력(陰曆)은 비과학적이라는 의식이 은연중 한국인의 뇌리를 지배하고 있는 듯하다. 이미 익숙해진 양력은 서구 중심의 글로벌화가 진전되면서 더욱 편리하게 느껴지는 반면 음력이 일상의 기준이던 시대는 오래전에 시간의 저편으로 흘러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력과 음력은 과학성의 우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학계는 명칭부터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음력, 즉 태음력(太陰曆)은 순수하게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삼는다. 반면 양력, 즉 태양력(太陽曆)은 지구가 해의 둘레를 1회전하는 동안을 1년으로 삼는다. 그런데 우리가 쓰고 있는 음력은 달의 차고 기울기를 주로 하면서 태양의 운행에도 맞춰 보려는 노력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태양태음력(太陽太陰曆)이라고 불러야 하고, 굳이 줄인다면 음양력으로 쓰는 것이 옳다는 주장이다.

서양도 처음에는 태음력을 썼다. 로마의 건국자 로물루스가 만들었다는 로마력(曆)이 그렇다.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한 해 길이는 지구의 공전주기인 1년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동·서양 모두 도입한 보정 수단이 윤달이다.

그런데 당시 로마에서는 어느 해에 얼마만큼의 윤달을 넣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정치적 입김이 미쳤다고 한다. 그래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건너 로마를 평정한 것이 달력으로는 BC 46년 1월이지만, 실제 계절은 가을이었다는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다. 권력을 잡은 카이사르는 이집트에서 쓰는 태양력을 도입했다. 이미 격차가 생긴 달력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무려 90일짜리 윤달을 넣어야 했다. 이 해는 서구 역사상 가장 긴 445일이 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 율리우스력(曆)이 다시 맞지 않게 되자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수정한 것이 오늘날 달력의 바탕인 그레고리우스력(曆)이다.

우리는 중국의 달력을 그대로, 혹은 손질해 쓰면서 큰 불편이 없었다. 신라는 당나라의 인덕력(麟德曆)과 무인력(戊寅曆)을 사용했고, 백제는 남조 송나라의 원가력(元嘉曆)을 쓰면서 일본에도 전해 주었다. 고려와 조선도 당연스럽게 모두 태양태음력이었다.

지금 경기도 남양주 실학박물관에서 달력이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를 살펴보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달력, 시간의 자취’ 특별전이다. 가장 오래된 달력인 선조 13년(1580)의 ‘경진력 대통력’(庚辰年 大統曆)을 비롯해 60점 남짓한 시간 관련 유물이 흥미롭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천문’ 특별전을 사장시키지 않고, 전문 박물관에 맞게 재활용한 순회전이라는 의미도 작지 않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12-09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