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미인의 기준/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미인의 기준/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5-05-04 18:10
업데이트 2015-05-04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사시대부터 오랫동안 인류는 통통한 여성을 선호했다. 선사시대의 미인은 서양력으로 기원전 2만 5000년 전에 만들어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높이가 약 11㎝로 자그마한데 가슴이 풍만하고 배와 엉덩이, 허벅지의 형태는 고도비만 체형이다. 선사시대에 아직 농경을 시작하지 않아 수렵과 채집만으로 식량을 구하던 시절, 풍요를 기원하면서 더 간절하게 비만한 체형을 희망하지 않았을까 싶다.

당나라 현종이 사랑한 미인 양귀비는 한 손에 잡히는 버들가지 같은 허리를 가진 미인이 아니었다. 양귀비는 술을 좋아해 아침나절에도 살짝 취기가 있었고, 술을 좋아하는 사람답게 몸매도 통통하고 넉넉했다는 것이다. 술 한 잔이 흰 쌀밥 한 그릇과 비슷한 열량이 아닌가. 또한 당나라 때 만든 여성 조각을 보면 당시 유행처럼 여성은 남자들의 옷을 입고 풍성한 몸매를 자랑하고 있다.

뉴욕타임스가 지난해 유출된 ‘혁신보고서’에서 경쟁 매체로 소개한 ‘버즈피드’는 올 초 ‘미인의 시대별 변천사’를 소개해 엄청난 클릭 수를 얻었다. 그 동영상을 보면 고대 이집트에서 고대 그리스를 거쳐 16세기 르네상스와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시대까지 모두 통통하고 풍만한 여성이 미인으로 나온다. 고대 그리스의 허리가 26인치인 밀로의 비너스를 굳이 거론할 필요도 없다. 17세기 루벤스의 그림 속 여성들도 풍만한 가슴과 엉덩이, 튼튼한 허리를 보여 준다. 영양이 결핍되지 않은 아름다움을 숭배한 것처럼 말이다.

1950년대에 풍만한 섹시 심벌 메릴린 먼로과 우아한 오드리 헵번이 경쟁하다가 본격적으로 깡마른 체형이 인기 몸매로 등장한 것은 1960년대의 아이콘 모델 트위기의 출현이었다. 이름처럼 작은 가지를 연상케 하는 트위기는 극단적으로 가느다란 몸매의 소유자로 미니스커트를 유행시켰다. 1980년대 잠시 건강미가 물씬한 슈퍼모델이 유행이었지만, 풍요가 넘치는 현대에는 자제력과 재력의 상징으로 마른 몸매가 선호된다. 맥도날드가 지천인 현대에 마른 몸매야말로 유지하기 어려운 ‘희귀 품목’이다.

스페인과 이탈리아, 이스라엘에 이어 최근 프랑스가 깡마른 모델의 퇴출을 선언하고 나섰다. 프랑스 집권당인 사회당 소속 올리비에 베랑 의원은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가 18 이하일 때는 패션쇼 무대에 설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지난 3월 제출했고, 지난달 3일 프랑스 하원을 통과했다. 상원 통과가 남았지만, 의미 있는 진전이다. ‘말라깽이 모델 퇴출’은 2007년 프랑스 모델 이자벨 카로가 거식증 등으로 사망하고서 의제로 떠올랐지만, 더디게 확산하고 있다. 프랑스는 여성 20명 중 1명꼴로 체중 증가를 두려워한 나머지 거식증에 시달리고 있다. 여성의 외모에만 집중하는 사회에서 내면의 아름다움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조언은 헛소리에 불과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5-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