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허언증과 사회병리/강동형 논설위원

[씨줄날줄] 허언증과 사회병리/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2-17 18:24
업데이트 2016-02-17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짓말은 인간의 전유물이다. 동물이 거짓말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거짓말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상상력의 산물이고 일종의 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거짓말하는 동물’이라고 정의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거짓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들을 가끔 볼 수 있지만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면 대부분 이해하고 넘어간다. 인간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거짓말을 조금씩 하고 살고 있으니 단순 거짓말은 죄가 아니라는 관용적인 의미다. 그러나 거짓말이 지나치면 일상생활을 할 수 없게 되고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거짓말이 심각한 상황을 ‘허언증’이라고 한다. 리플리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리플리 증후군은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씨’의 주인공 ‘리플리’에서 유래했다. 소설 제목만 봐도 리플리라는 주인공이 자신을 거짓으로 포장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떻게 파멸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18세기 독일의 허풍쟁이 남작 뮌하우젠의 이름에서 따왔는데 심리 측면에서는 리플리 증후군과 같지만 주로 신체적인 증상을 일컫는다. 한마디로 꾀병이다. 아프지도 않은데 아프다고 한다든지, 조금 아픈 것을 죽을 병이 걸린 것처럼 과장하는 사람은 뮌하우젠 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보면 된다.

허언증이 사회문제화한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해 미국의 유명 대학에 두 곳이나 합격했다고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가 거짓으로 들통난 한 여학생 이야기나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유명 큐레이터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자신을 속이며 살아가는 이야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좋은 소재가 되기도 한다. ‘재능 있는 리플리씨’는 영화로도 만들어졌고, 한 공중파에서는 ‘미스 리플리’라는 드라마를 제작, 방영하기도 했다.

요즘 인터넷상에서 자신이 마치 돈 많은 사람이고, 인기 연예인과 친분이 있는 것처럼 과시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는 아예 ‘허언증’이라는 거짓 사실을 게재할 수 있는‘ 놀이공간’까지 마련했다. 문제는 청소년들이 인터넷상에서 재미 삼아 한두 번 하던 거짓말도 자신을 수렁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단순 사칭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초상권 침해, 명예훼손 등 죄가 된다. 인터넷에 올린 글은 ‘디지털 주홍글씨’가 돼 평생 자신을 괴롭힐 수도 있다. 증상이 심하면 사기꾼이 돼 사회와 격리되게 된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인터넷 가상공간은 허언증의 좋은 숙주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모의 과도한 기대나 인물 지상주의, 스펙 지상주의 등의 사회 풍조가 허언증의 촉매 역할을 한다고 경고한다. 허언증이 사회병리가 될 날이 머지않은 느낌이다. 가족이나 사회공동체가 따뜻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2-18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