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윤지충·권상연 묘지(墓誌)/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윤지충·권상연 묘지(墓誌)/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1-09-02 20:30
업데이트 2021-09-03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른바 ‘진산사건’의 주역인 한국 천주교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1759~1791)과 권상연(1751~1791)의 무덤이 확인된 것은 교회사를 넘어 한국사 차원에서도 뜻깊다. 윤지충 시신의 목뼈에서 날카로운 도구에 잘린 흔적이 생생한 것은 천주교 박해가 아주 오래전 남의 일이 아님을 알려 준다. 하지만 무덤의 주인을 알려 주는 결정적 증거는 참수의 흔적인 잘린 목뼈나 능지처참의 결과인 신체 일부 없는 시신이 아니라 묘지(墓誌)다.

조선시대 장례의식의 마지막 절차는 무덤 앞에 비석을 세우고 묘지를 묻는 일이다. 무덤 앞의 비석인 신도비는 아는 사람이 많다. 묘표와 묘갈은 신도비보다 간소하다. ‘대동야승’에서 ‘지석(誌石)은 무덤 앞에 묻는 것인데, 세월이 오래되어 비석이 없어지면 누구의 무덤인지를 알리고자 한다’고 적었다.

우리 묘지의 역사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안악3호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불교식 화장이 주류를 이루었던 통일신라 것은 찾기 어렵다. 고려는 불교국가라도 화장 이후 매장 풍습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석판에 글을 새긴 지석이 많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는 매장이 일반화됐고, 도자기 산업이 활발해지면서 도자 묘지가 유행했다.

윤지충과 권상연의 무덤이 확인된 곳은 전북 완주군 이서면 초남이성지(聖地)의 바우배기다. 신유박해로 순교한 유항검(1756~1801)의 고향이다. 그는 윤지충의 이종사촌으로 조선 천주교의 독자적인 교계 제도인 이른바 가성직자단(假聖職者團)의 신부로 지명되기도 했다. 능지처참된 유항검의 집터는 큰 죄를 지은 사람의 집을 헐어 없애고, 못을 만드는 파가저택(破家?宅) 됐다. 윤지충과 권상연의 진산 집도 같은 처분을 받아 아직 그 터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당시 전라도 진산 땅은 오늘날 충남 금산군에 속한다.

바우배기는 유항검 가족의 무덤이 1914년 전주 치명자산성지로 옮겨지기 전까지 있었던 곳이다. 무연고 분묘로 남아 있던 주변 10기의 무덤을 지난해부터 발굴한 결과 윤지충과 권상연은 물론 윤지충의 아우인 또 한 사람의 순교자 윤지헌(1764~1801)의 무덤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유항검이 감당하기 어려웠을 당대 대역죄인 윤지충과 권상연의 시신을 거두어 자기 집안 선산에 모셨음을 짐작하게 한다.

두 사람의 묘지에는 망자(亡者)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담담하게 적혀 있다. 묘지에 천주교 관련 글귀가 보이지 않는 것은 두 사람을 장사 지내는 데 주위의 많은 눈이 쏠려 있었음을 반증한다. 이 발굴로 바우배기는 단숨에 한국 천주교 역사를 대표하는 성지로 떠올랐다. 지방 가마에서 구웠을 소박한 그릇에 적힌 글자 몇 개의 힘이 놀랍다.
서동철 논설위원 sol@seoul.co.kr
2021-09-0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