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생명과 공감 그리고 희망이 실종된 정치/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열린세상] 생명과 공감 그리고 희망이 실종된 정치/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입력 2012-03-23 00:00
업데이트 2012-03-23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요즘 정치엔 생명이 없다. 성큼 다가온 봄기운이 꽃샘추위 속에서도 생명의 움을 틔우지만 정치는 여전히 언 땅에서 죽음의 장막에 둘러싸여 있다. 정치가 선거를 통해 꽃을 피우기는커녕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 대한 불신만 커진다. 생명은 성장과 성숙의 원동력이다. 발전하지 못하는 정치는 죽은 정치다. 정치가 시대정신을 구현하지 못하고 여전히 구태의 굴레에 머물러 있다. 공천과정과 비례대표 후보의 면면에서 일관된 국정철학과 가치를 찾아내기 어렵다.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발표한 공약을 살펴보면 현실적 타당성과 구체성이 결여된 선심성 공약들이 많다. 재정적으로 감당하기 어렵거나 총선과 대선이 끝나면 물거품처럼 사라질 급조된 공약에 생명이 있을 리 없다.

여야의 공천도 변죽만 울리다 끝나 버렸다. 공천 방식과 공천 결과에 대해 말이 많다. 하향식 공천 방식이야말로 정치 발전을 저해하는 주범이라고 지목하는 목소리도 높다. 여야 모두 새로운 인물을 발굴하겠다고 큰소리를 쳤지만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친다. 새로운 인물은 있지만 새로운 정치를 상징할 만한 대표 주자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권력을 만들어 가는 현실정치의 속성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자생력(自生力)과 자정력(自淨力)을 통해 정치의 건강한 생명성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생명의 정치를 외면하고, 새로운 시대가 아닌 새로운 정치세력을 만드는 것에 너무 정신이 팔렸다. 국민들이 정치에 좌절하고 분노하는 이유다.

요즘 정치엔 공감(共感)이나 감동이 없다. 총선을 앞두고 각 당과 후보들이 내건 현수막은 한마당 벌어질 정치적 축제를 알리는 휘장이 아니라 구호만 요란한 공해다. 조만간 확성기를 통해 들려올 후보의 목소리나 음악에 맞추어 어설프게 흔들어대는 율동에 공감할 국민이 얼마나 있을까? 정치가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하고 있다. 공감이 없으니 감동도 없다.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얻는 과정이어야 한다. 국민의 공감이 표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선거다. 정치가 정당과 정책, 그리고 정치인을 통해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한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공감과 감동이 없는 선거에서는 최선을 선택하기보다는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 선거의 기본 구도가 될 확률이 높다. 선거를 통해 선택의 즐거움을 느끼기보다는 강요된 선택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는 국민이 많아질지도 모를 일이다. 정치적 이상과 가치가 부각되지 못하고 권력투쟁만 부각되는 정치에 공감과 감동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전장에서조차 적군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공감의 위력을 알려준 리프킨의 ‘공감의 시대’를 우리 정치는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한 아기가 울면 다른 아기도 따라서 울게 된다는 ‘공감의 확장 현상’을 우리 정치에서 기대하기란 아직 힘들다. 공감을 그토록 외치면서도 공감의 정치를 펼치지 못한 정치인의 잘못이 크다.

요즘 정치엔 희망도 없다. 올바른 정치는 비전을 만들고 국민의 마음에 건강한 꿈을 심는다. 폐허에서 예쁜 장미가 피는 꿈을 심어주는 것이 희망의 정치요, 실제 장미를 심는 것이 실천의 정치다. 정치인 스스로를 위한 정치나 미사여구로 포장된 정치구호는 국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주지 못한다. 선거구 개편에 대한 여야의 이상한(?) 합의나 당리당략에 휘둘리는 모습은 희망의 정치를 포기했다는 정치권의 자기고백이다. 민간인 불법사찰과 관련된 몸통 논란이나 경선 파문과 공천을 둘러싼 파열음도 절망의 정치가 보여주는 어두운 현실이다. 희망의 정치를 맛보지 못한 국민은 불행한 국민이요, 희망을 주지 못하는 정치인은 무능한 정치인이다.

한동안 추위에 움츠렸던 꽃망울이 터진다는 봄소식이 남쪽으로부터 전해졌다. 아무리 매서운 꽃샘추위도 봄기운을 이기지는 못한다. 이제 정치에 봄기운이 전해질 차례다. 실종된 생명과 공감 그리고 희망의 정치를 회복해야 한다. 선거를 앞두고 국민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유다. 정치가 국민에게 답을 주지 못하면 국민이 정치에 답을 주어야 한다. 국민이 곧 정치의 본질이요, 국민의 수준이 정치의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2012-03-2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