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언론, 정치권의 프레임 중계역할 그만둬야/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열린세상] 언론, 정치권의 프레임 중계역할 그만둬야/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입력 2013-08-26 00:00
업데이트 2013-08-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대통령과 정부, 정당, 정치인, 시민단체는 전략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한다. 이슈를 평가하는 ‘프레임’을 개발하고 이를 확산시켜 사회가 자신의 ‘프레임’을 수용하기를 희망한다. ‘해석의 틀’ 혹은 ‘관점’을 의미하는 프레임은 사안에 공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능력이 있다. 공공의 담론 구축 과정에서 특정 정치세력이 제안한 프레임이 우선적으로 수용된다면 이들을 지지하는 여론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프레임이 유통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언론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우리는 앞서 언급한 인물, 기관, 단체가 개발한 프레임들이 언론에 의해 주목받을 수 있는 기회가 불평등하다는 구조적 문제점을 직시해야 한다. 전통 미디어와 인터넷 모두 권력을 더 가진 자에 보다 주목한다. 대통령의 발언과 행동은 대개 신문 1면과 방송 뉴스의 앞부분에서 주요 뉴스로 등장한다. 청와대 참모진과 정부, 여당 권력자의 정치적 수사와 행동은 언제나 기사의 핵심 내용을 구성한다.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프로모션하는 기회를 야당이나 시민단체보다 더 많이 갖는 것은 당연시된다.

부적절한 정치뉴스 생산 관행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프레임의 일방적 유통을 돕는다. 요즘 방송은 정치적 ‘중립’을 강조한다. ‘중립’은 어느 한쪽을 편들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정치뉴스 생산에서의 ‘중립’은 달리 해석돼야 한다. 가령 국정원 직원의 댓글 작업이 국정원 본연의 업무에서 벗어난 일탈 행위라는 사실은 검찰 조사에서 밝혀졌다. 그렇다면 ‘국정원 직원 댓글은 국내 정치 개입’이라는 시민사회의 프레임은 타당하다. 그런데도 신문과 방송은 집권세력(대선불복)과 국정원(종북세력 척결을 위한 본연의 업무)의 반박성 주장에도 같은 무게의 뉴스 가치를 부여해 ‘공방식’으로 보도한다. 이런 태도는 진실의 규명이 아닌 은폐에 기여한다.

정치권이 특정 프레임을 제안하면 이데올로기적 편견이 강한 언론이 이를 재생산하고 시민이 해당 프레임을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는 순진한 발상이다. 특정 사안을 해석하는 틀이 시민사회에 수용되기 위해선 수긍할 수밖에 없는 사실을 갖춰야만 한다. 제아무리 영향력 있는 신문과 방송이 매개하더라도 시민의 상식과 공명하지 못하는 프레임은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 시민은 언론 보도를 비판 없이 수용하지 않는다. 시민사회의 인식과 거리가 먼 정치인의 주장을 중계하는 관행은 언론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뿐이다. 프레임들이 지배적 위치를 두고 경쟁하는 과정에서 언론인은 정치권의 주장을 단순 매개할 의무가 없다. 뉴스 전문가 입장에서 정부와 정당의 주장을 선별하고 새로이 조명해 언론만의 프레임을 재구성해야 한다. 정치권과 언론의 해석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대신 자기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이슈를 틀짓기하는 독자나 시청자의 프레임 형성 과정을 존중해야 한다.

2013년 검찰은 ‘국정원 직원의 댓글 작업은 국정원 조직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발표했고, 보수 성향 주요 일간지도 국정원 직원의 댓글 작업이 정당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결국 국정원이 국내 정치에 개입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 셈이다. ‘국정원 직원 댓글 사건=정치개입’이란 프레임은 신문의 논조가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 변할 수 없다.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방법론에 논의의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시민사회는 이명박 정부의 ‘불법 민간인 사찰’에 이어 민주주의가 퇴행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2013년 8월 무더위 중에 진행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진상규명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동행명령장 발부 이틀 만에 출석한 전직 국정원장과 서울경찰청장은 재판을 이유로 증인 선서를 거부했고 전·현직 국정원 직원들은 하얀 가림막 뒤에서 증언을 했으며, 집권당은 증인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문제 될 게 없다고 옹호했다. 그럼에도 언론은 정치권의 막말이나 저질 발언 싸움을 중계하는 데 치중하고 일부는 청문회 무용론을 주장한다. 1988년 방송의 5공비리 청문회 생중계는 ‘국민들이 감시자로서 역사의 주인이 되는 국민정치 시대롤 개막시키는 데 공헌한 프로그램’(매스컴 대사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청문회 생중계에 대한 ‘극찬’은 옛이야기가 돼 버렸다.

2013-08-2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