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크러시’ 넘은 드라마 속 여주인공

‘아무도 모른다’에서 김서형이 연기하는 차영진은 연쇄 살인사건의 전말을 캐는 강력계 형사다.<br>SBS 제공
‘아무도 모른다’에서 김서형이 연기하는 차영진은 연쇄 살인사건의 전말을 캐는 강력계 형사다.
SBS 제공
요즘 드라마의 여성 주인공들에게 ‘걸크러시’는 부족해 보인다. ‘센 언니’ 중에서도 역대급이다. 경찰, 프로파일러, 국정원 요원, 변호사 등 수사기관과 법조계를 넘나들고, 조력자를 넘어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간다. 연령도 20대에서 40대까지 폭넓다. 주체적인 여성상을 선호하는 최근의 사회적 분위기가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과 인기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하이에나’의 변호사 정금자(김혜수 분)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br>SBS 제공
‘하이에나’의 변호사 정금자(김혜수 분)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
SBS 제공
현재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 중인 수사물 대부분은 여성 형사가 전면에서 극을 이끈다. 그동안 범죄물에서 여성이 보조적 역할이나 조력자에 머물렀던 것과 대조적이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SBS 월화극 ‘아무도 모른다’의 차영진(김서형 분)이다. 전설적인 여경으로 강력계 팀장을 맡은 그녀는 미제 연쇄 살인사건과 한 소년의 죽음을 집요하고 냉철하게 추적해 간다. 2016년 tvN ‘굿 와이프’의 로펌 대표, 2018년 jtbc ‘스카이 캐슬’의 ‘쓰앵님’ 김주영으로 강렬함을 뽐낸 김서형은 이번에도 쇼트커트에 중저음 목소리, 무채색의 옷 등 ‘시크한’ 매력과 인간적인 면모를 동시에 뽐낸다.

tvN ‘메모리스트’에도 초엘리트 여성 프로파일러가 등장한다. 형사 동백(유승호 분)과 연쇄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한선미(이세영 분)는 감성 대신 이성과 과학으로 사건에 한발 한발 접근한다. 이세영은 제작발표회에서 “예전에는 여자 주인공이 민폐 캐릭터가 많았는데 한선미는 그런 것을 벗어나 극을 끌고 가는 능력 있는 캐릭터라 매력을 많이 느꼈다”고 말하기도 했다.

20대 여성과 30~40대 남성이 주인공을 이루던 공식 역시 깨지고 있다. SBS 금토극 ‘하이에나’ 속 정금자(김혜수 분)가 대표적이다. 정의감이나 이타심 대신 승소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흙수저로, 엘리트 코스만 밟은 윤희재(주지훈 분)보다 한 수 위의 능력을 증명한다. 다소 과장된 모습도 보이지만 강인하고 자유로운 여성을 표현해 온 김혜수의 이미지와 맞물려 설득력을 얻는다. 로펌 ‘송&김’의 공동대표 김민주(김호정 분) 역시 송필중(이경영 분)에 맞서 욕망을 실현하려는, 배려나 부드러움과 거리가 먼 여성 변호사로 등장한다. 김선영 문화평론가는 “김서형과 김혜수는 중년 남성과 젊은 여성 파트너라는 전형적인 드라마 속 구도를 뒤집는다”며 “특히 정금자 변호사는 여성 캐릭터에 상대적으로 높은 도덕성을 요구해 왔던 고정관념도 뛰어넘은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메모리스트’ 속 천재 프로파일러 한선미(이세영 분)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br>tvN 제공
‘메모리스트’ 속 천재 프로파일러 한선미(이세영 분)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
tvN 제공
‘굿캐스팅’에서 최강희가 맡은 국정원 요원 백찬미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br>SBS 제공
‘굿캐스팅’에서 최강희가 맡은 국정원 요원 백찬미는 그동안 미디어에서 소비되던 전문직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뒤집는다.
SBS 제공
‘여성 버디물’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지난달 17일 종영한 tvN ‘방법’은 저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10대 소녀와 정의감 넘치는 사회부 기자가 대기업 뒤에 숨은 거대 악과 맞서 싸우는 과정을 스릴 넘치게 담았다. ‘아무도 모른다’ 후속으로 오는 27일 첫방송되는 ‘굿캐스팅’도 국정원을 주름잡는 언니들이 주인공이다. 현직에서 밀려나 근근이 책상을 지키던 이들이 현장 요원으로 차출된 후 벌어지는 액션물이다. 최강희, 유인영, 김지영이 각각 워커홀릭, 싱글맘, 18년차 주부 요원으로 출연한다.

김 평론가는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수사물이나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드라마를 여성들이 주도하고 동시에 다양한 캐릭터로 표현하고 있다”면서 “사회적으로 젠더 감수성이 높아지면서 주요 시청자인 여성들이 수동적인 여성상에 공감하지 못하는 시대가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