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의 사고로 아들을 잃은 아버지가 있다. 더욱 비극적인 것은 그가 아들(조시)의 죽음을 마음껏 슬퍼할 수도, 위로받을 수도 없는 특수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아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상실감으로 하루하루를 폐인처럼 살고 있는 ‘샘’에게 어느 날 구원처럼 음악이 찾아온다. 샘은 조시가 CD로 남긴 노래들을 따라 부르면서 그가 미처 알지 못했던 아들과 조우한다.

러덜리스
음악영화들은 공통적으로 음악을 감상하고 만들고 연주하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 일인지,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고 타인의 상처를 아물게 할 수 있는 명약인지에 대해 역설한다. ‘러덜리스’는 그러한 음악의 기능들과 더불어 ‘함께’ 연주한다는 것의 의미와 기쁨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조시의 목소리에 자신의 목소리를 얹는 샘의 행위는 불미스러운 사건 끝에 세상을 떠난 아들을 추모하는 은밀한 수단이며 죽음의 강을 뛰어넘어 소통하는 한 방식이다. 객관적으로는 조시가 용서받지 못할 죄인에 불과할지라도, 여느 평범한 아버지로서 사랑하는 아들을 향한 그리움을 담은 샘의 목소리는 윤리적 판단을 잠시 보류하게 만든다.

한편, 음악을 위로 삼아 겨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샘 앞에 21살의 청년 ‘쿠엔틴’이 나타난다. 샘, 아니 조시의 노래에 매료된 쿠엔틴의 등장은 ‘러덜리스’-영화의 제목이자 밴드의 이름이기도 한-의 음악을, 그리고 치유의 서사를 완성시킨다. 처음에는 음악적 동료로 다가왔지만 곧 샘에게 쿠엔틴은 불우한 가정환경과 소심함을 극복하도록 도와줘야 할 아들 같은 존재이자 조언을 구하는 멘티가 된다. 샘은 조시에게 못다 한 최선의 충고를 건네며 쿠엔틴이 어려움을 딛고 음악을 포기하지 않도록 독려한다.

두 사람이 처음 합주하는 장면에서 들려주는 하모니에는 ‘원스’(2006)나 ‘비긴 어게인’(2013)의 달달함 혹은 ‘위플래쉬’(2014)의 매운맛과 비교할 수 없는 짜릿함이 있다. 쿠엔틴에 이어 드러머인 ‘에이컨’, 베이시스트 ‘윌리’가 차례로 합류해 자신의 파트를 채워 나갈 때마다 ‘러덜리스’의 음악은 흑백 화면에서 컬러 화면으로 바뀌듯 풍부한 색깔로 차오르며 감동을 더한다.

이들이 클럽 정규 무대에서 우연찮게 오프닝곡으로 부르게 된 ‘휠즈 온 더 버스’를 모든 청중이 일정한 동작과 함께 따라 부르는 장면은 단순한 선율 하나도 공통점 없는 대중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내는 힘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갖 비난을 감수하면서 샘이 조시의 노래를 불렀던 것도 사고와는 별개로 조시가 정말 어떤 아이였는지 편견 없이 봐 주길 바라는 마음에서였다고 할 수 있다. 명반을 감상하듯 멋진 음악들이 연속되는 후반부는 황홀하다. 특히 아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이면서 자신에게 쓰는 위로의 시, 4분 35초간의 ‘싱얼롱’은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엔딩을 선사한다. 음악영화의 계보 속에서 단연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9일 개봉. 12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