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 세계 금융패권 중심에 서다

中, 세계 금융패권 중심에 서다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MF, 신설 부총재 中 주민 지명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12일(현지시간) 주민(朱民·59) 중국 인민은행 전 부행장을 부총재로 지명했다. 주 부총재는 IMF 집행이사회 의결을 거쳐 오는 26일쯤부터 정식으로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IMF 부총재에 중국인이 선임된 것은 처음이다. 라가르드 총재는 부총재 자리를 하나 더 신설해 4개로 늘린 뒤 중국에 한 자리를 할애했다.

중국인이 IMF 부총재에 선임된 것은 중국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금융 패권의 중심에 다가서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IMF 내에서 중국을 비롯한 신흥경제체의 목소리가 힘을 받기 시작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주 부총재는 2008년 2월 세계은행(IBRD)에 진출한 린이푸(林毅夫) 부총재와 함께 향후 국제 금융질서 재편 과정에서 중국의 목소리를 대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20개국(G20) 회의 등을 통해 IMF 등 국제금융기구의 개혁을 줄기차게 주창해 왔다. 특히 선진국들을 상대로 개도국들의 지분 및 발언권 확대를 요구하는 선봉장 역할을 맡아 왔다. 중국은 이번에도 중국의 IMF 내 지분 등을 거론하며 라가르드 총재를 압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IMF 내 중국인 부총재의 등장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주도의 ‘팍스아메리카나’ 금융질서가 대변혁을 맞았다는 신호로도 읽힌다. 대표적인 국제금융기구인 IMF와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은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이 최고위직을 사이 좋게 나눠 가지면서 철옹성을 구축해 왔다. IMF의 경우 총재는 서유럽, 수석부총재는 미국, 나머지 부총재 둘은 일본과 남미·아프리카 몫이었다. 비록 한 자리를 신설해 중국 측에 내준 것이긴 하지만 그 틀이 이번에 깨진 것이다. 이미 국제 금융질서 개편 분위기는 뚜렷하다. 중국을 비롯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입김은 커질 수밖에 없게 됐다. 중국 내에서는 국력 확대를 IMF 고위직 획득 배경으로도 해석한다. 칭화대 중국 및 세계경제연구센터 위안강밍(袁鋼明) 연구원은 “탁월한 개인 능력이 IMF 부총재 자리에 오른 중요한 이유”라면서도 “중국의 굴기(우뚝 일어섬)가 중국인의 국제 금융기구 고위직 선임의 가장 큰 배경”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14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