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룡 말기 2천만년간 번창한 포유동물 있었다

공룡 말기 2천만년간 번창한 포유동물 있었다

입력 2012-03-15 00:00
업데이트 2012-03-15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생대는 포유동물이 있었다 해도 가까스로 명을 부지할 정도였던 시기로 알려져 있지만 설치류와 비슷한 다구치목(多丘齒目)이라는 포유 동물들은 공룡이 멸망하기 전 2천만년 동안 번성을 누렸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4일 보도했다.

미국과 호주, 핀란드 등 국제 연구진은 화석으로 남아있는 41종의 다구치목 치아 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어금니가 당시 막 확산되기 시작한 속씨식물을 먹을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어 마음껏 먹고 번성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네이처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들 포유류가 종(種)수와 몸크기, 이빨 형태 등 여러 면에서 당시 흔했던 속씨식물을 먹을 수 있었던 것이 이들이 번창한 이유 중 하나일 것”라고 말했다.

지금은 가까운 유연종이 없는 다구치목은 1억7천만년 전에는 쥐만한 크기였지만 1억4천만년 전 속씨식물이 등장한 뒤 몸집이 점점 불어 나중엔 비버 정도로 자라났다.

이들은 공룡이 멸종한 뒤에도 계속 번창했으나 영장류와 유제류(有蹄類), 설치류 등 다른 포유동물에 밀려 약 3천400만년 전 멸종했다.

연구진은 전세계에 보존돼 있는 41종의 다구치목 치아를 컴퓨터 단층촬영(CT)해 고해상도의 3차원 영상을 만든 뒤 치아 표면의 다양한 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 관찰했다. 치아 표면에 면이 많을수록 치아 구조는 복잡해지며 가장 복잡한 치아일수록 결절을 많이 갖고 있다.

이들은 30미크론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3분의1) 이하의 해상도로 다구치목 치아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어금니 뒤쪽에 무수히 많은 결절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쉽게 분해되는 먹이를 먹는 육식동물들은 치아 한 줄당 110개 정도의 면을 갖고 있지만 치아로 먹이의 대부분을 부숴야 하는 초식동물들은 더 많은 면을 갖고 있다.

다구치목의 경우 칼날처럼 날카로운 치아들은 입 앞쪽에 위치해 있지만 분석 결과 일부 다구치목의 치아는 시간이 갈수록 뒤쪽의 것이 점점 복잡해져 많게는 치아 한 줄당 348개의 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을 잘게 부수는데 적합한 형태이다.

연구진은 다구치목의 뒤쪽 치아에 점점 더 많은 결절들이 발달했으며 식물을 잘게 부수는 결절이 발달할수록 앞쪽의 날카로운 치아들은 점점 중요성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부 속씨식물의 경우 공룡의 멸종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이들 식물을 먹이로 삼는 다구치목이 번성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속씨식물이 확산되면서 수분매개 곤충의 개체수도 늘어났고 이들 곤충을 먹고 사는 동물 종 역시 이익을 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