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불임수술 사망 사인 ‘쥐약’ 놓고 논란

인도 불임수술 사망 사인 ‘쥐약’ 놓고 논란

입력 2014-11-17 00:00
업데이트 2014-11-17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도에서 최근 불임수술 도중 숨진 여성들의 사인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인도 중부 차티스가르주(州) 빌라스푸르의 진료소에서는 8일 의사 R.K. 굽타가 6시간 동안 여성 83명을 대상으로 불임수술을 하다가 13명을 숨지게 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차티스가르주의 담당 관리인 손모니 보라가 쥐약으로 주로 사용하는 인화아연 성분이 섞인 항생제를 수술대상자들에게 준 게 문제가 됐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보라는 현재 인화아연 성분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정부가 운영하는 한 병원의 법의학 전문가들은 희생자들 가운데 7명을 검시한 결과 집도의가 수술도중 위생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게 사망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굽타가 수술과정에서 도구를 제대로 소독하지 않은 바람에 심각한 감염에 대해 생명을 위협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패혈성 쇼크가 발생, 수술대상자들이 사망에 이르렀다는 주장이다.

차티스가르의 보건시민단체 소속 의사인 요게시 자인도 “항생제에 쥐약성분이 섞였는지에 대해서는 조사결과가 나와야 알겠지만, 쥐약성분이 사인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가세했다.

신문은 일부 다른 의사들도 자인의 견해에 동조했다고 전했다.

과실치사 혐의로 구속된 굽타는 항생제가 잘못 제조된 탓인데도 자신이 희생양이 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경찰은 항생제 납품업체를 상대로도 수사를 펴고 있다.

이번 사건은 정치권에도 불똥이 튀었다.

야당인 국민회의당(INC)은 여당 인도국민당(BJP)가 이끄는 차티스가스 주정부의 업무태만, 부패, 유통기한을 넘은 항생제 사용 등이 어우러져 이번 사건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이에 BJP는 주정부가 용의자를 체포하는 등 적절한 조처를 했다며 INC 주장을 일축했다.

13억 인구의 중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인 12억 5천만 인구를 가진 인도는 불임수술 장려금을 지급하는 등 산아제한 정책을 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