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G7 脫탄소경제 목표시한 첫 제시…메르켈 리더십 평가

G7 脫탄소경제 목표시한 첫 제시…메르켈 리더십 평가

입력 2015-06-09 01:57
업데이트 2015-06-09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오는 2100년까지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화석연료 사용 종식을 제안하고 나섰다. 비록 선진 부국 중심 G7 다자틀의 한계가 지적되지만 세계 첫 ‘탈(脫)탄소경제’ 목표시한 제시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등 G7은 전세계 인구의 10%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5%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선도적 지향은 의미가 작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을 비롯해 인도, 러시아, 브라질 같은 국가들이 빠진 것은 물론 앞으로 갈 길이 멀고도 험난하다는 점을 시사하나, G7이 이처럼 시간표를 들이밀며 기후변화 리더십을 이끈다면 상황이 지금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파리에서 강력한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합의 이후의 진로를 밝혔다.

이 언급은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전향적인 이행 협약이 나올 수 있게끔 G7이 먼저 길을 다진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연말 파리 총회는 세계 200여 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교토의정서가 끝나는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협약 채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 196개 당사국 모두는 파리 총회에 앞서 이산화탄소 감축목표(INDC)를 제출해야 한다.

이를 앞두고 미국은 2025년까지 2005년 대비 26∼28%,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35%, 일본은 2030년까지 26%를 각각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다만 목표치를 아직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G7 정상들은 이번 공동선언문에서 긴급하고도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한 때라고 사안의 시급성을 지적하고 2009년 코펜하겐 기후변화 총회(COP15)가 합의한 내용에 대한 지지를 확인했다.

전반적으로는 실패로 평가받는 당시 코펜하겐 총회는 그래도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섭씨 2도로 제한한다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정한 성과도 가져왔다.

G7 정상들이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온도를 섭씨 2도 낮추려면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2010년 대비 40∼70% 줄이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을 수용한 점도 그런 맥락에서다.

그린피스 기후전문가 마르틴 카이저는 “100% 재생 에너지의 미래 비전을 이번 회의가 가져다 줬다”고 AP 통신에 촌평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 합의에서 핵 발전과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이용은 빠져있기 때문에 G7이 화석연료원을 이들 방식의 에너지원으로 대체할 길을 열어둔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기후전문가인 서맨서 스미스는 2020년까지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책을 지원하기 위해 1천억 달러를 모은다는 유엔 녹색기후기금 조성 계획에 대해 “지금껏 100억 달러 밖에 모금되지 않았다”면서 G7 주도의 재정적 기여 실천을 강조했다.

이번 G7 정상들의 합의를 두고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국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리더십을 높게 평가하는 시각도 있다.

일찌감치 메르켈 총리는 파리 총회를 책임질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과 투톱을 이뤄 이번 G7 무대에서 기후변화와 관련한 세부 합의를 이끌어 내자고 의기투합했다.

메르켈 총리는 그 힘을 바탕으로 일본과 캐나다의 초반 저항을 달래며 결국 이들 국가도 공동선언문에 ‘오케이’ 하게끔 유도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dpa 통신은 “독일연방의 전 환경부 장관이자 훈련된 과학자(물리학자)로서 메르켈은 자신의 정치역정에서 기후변화 대처를 내내 지지해 왔다”고 소개하고 “이번 합의는 메르켈의 중요한 승리”라고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는 앞서 1995년 환경장관 재직 당시 베를린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의장을 맡아 이산화탄소 감축의무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 내놓았고, 이를 두고 애초 기대 수준을 뛰어넘는 합의라는 평가를 받으며 대규모 다자무대의 합의를 이끄는 리더십이 훌륭하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