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압박에도 ‘꿈쩍않는’ 韓겨냥 中사드보복…변화여부 ‘주목’

美압박에도 ‘꿈쩍않는’ 韓겨냥 中사드보복…변화여부 ‘주목’

입력 2017-04-17 10:33
업데이트 2017-04-17 1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마트 두달여째 영업 중지·한국 관광 중지 여전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이유로 한국을 겨냥한 중국의 보복 조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에 강력한 항의의 목소리와 함께 미묘한 태도변화를 보이고 있어 추이가 주목된다.

이달 초순 미중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에게 사드 보복 중단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그 이후 중국의 태도에 변화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이어 16일 방한한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이 16일 방한하면서 사드배치에 대한 미 행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사드는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결정해야 할 일”이라고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중국의 입장 변화가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린다.

만약 한미 양국이 현재 진행중인 사드 배치와 관련한 결정을 한국의 차기 정부로 넘기기로 합의한다면, 중국도 기존과는 다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롯데 그룹을 포함한 한국 기업에 대한 각종 제재조치는 물론 지난달 15일부터 시작한 중국인의 한국관광 금지 조치도 풀지 않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내 대부분의 롯데마트는 지난달 초 중국 당국의 무차별 소방 점검 등으로 영업 정지를 당한 채 거의 두 달째 문을 닫고 있다.

롯데마트 중국 현지 99개 점포 가운데 전체의 90%에 달하는 87개가 여전히 영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나마 영업 중인 롯데마트마저 중국인들의 불매 운동에다 공급상들이 상품 제공을 중단하면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유일하게 베이징(北京) 인근 허베이성(河北省)의 옌지아오(燕郊)점만 최근 중국 당국으로부터 영업 재개 허가를 받았으나 그동안 휴점 여파로 문을 다시 열기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 관계자는 “중국 내 롯데마트 상황은 지난달과 달라진 바 없다”면서 “현재 영업 재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의 경우 물품 공급, 구매 등 복잡한 유통망이 구축돼있는데 두 달 가까이 문을 닫을 경우 치명타를 입게 된다”면서 “중국 내 수많은 대형마트 가운데 롯데마트에만 집중 점검으로 영업 정지했다는 것은 누가 보더라도 명백한 불공정 조치”라고 말했다.

지난달 15일부터 전면 중단된 중국인들의 한국 단체 관광 중지 또한 한달이 지났으나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국가여유국의 지침에 따라 베이징(北京)을 포함해 지방 도시까지 가세하면서 온라인 여행사 셰청(携程·C-trip) 등에서 여전히 한국 관광 상품을 검색할 수 없을 정도로 여행사를 통한 한국 관광은 중단 상태다.

이에 따라 크루즈선의 한국 기항도 사라졌으며 항공편 또한 수요 감소로 감편 운항되고 있다.

태국, 일본 등과 함께 중국인들의 5대 관광지에 들었던 한국은 지난 칭명제(淸明節·청명절) 때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여행사를 통한 중국인 관광 금지는 지속하는 상황이라 중국인 개별 관광객을 한국을 유치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기본적으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빠져나간 자리를 메우기는 쉽지 않다”고 전했다.

삼성SDI, LG화학 등 한국 기업에 대한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규제도 여전하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에 ‘모범규준 인증 제도’를 도입한 뒤 한국 업체들에 대해선 인증을 미뤄 피해가 커지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지난 3월 중국 시장 판매 대수는 작년 3월보다 52.2%나 급감했다.

한 소식통은 “최근 중국 매체에서 사드 보복 또는 롯데 불매에 대한 보도가 급감했으나 제재는 지속하는 상황”이라면서 “5월 한국 대통령 선거가 끝나야 중국의 사드 보복에 뭔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