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섣부른 희망 대신 경고…코로나가 바꾼 리더십

섣부른 희망 대신 경고…코로나가 바꾼 리더십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3-17 22:04
업데이트 2020-03-18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AP 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AP 연합뉴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 세계 지도자들이 잇따라 비관적인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일말의 희망이나 호전 가능성을 제시하기보다는 국가 지도자의 발언으로는 이례적으로 공포심까지 자극하며 국민들을 단속하고 나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코로나19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전국민 이동 금지령을 내리며 “우리는 전쟁 중에 있다”는 발언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전시에 나선 것처럼 비장한 표정으로 “책임감을 가져라, 어길 시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AP통신은 당국의 허가 없이 외출하는 시민에게는 38유로(약 5만 2000원)에서 최대 135유로가 부과되고 10만명의 경찰이 단속에 나선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EPA 연합뉴스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EPA 연합뉴스
앞서 다른 유럽 지도자들도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부정적 전망을 잇따라 내놓으며 해외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대국민 메시지에서 전문가의 전망을 빌려 “인구의 60~70%가 코로나19에 감염될 것”이라고 말해 자국민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들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많은 가족이 뜻하지 않게 사랑하는 이들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지 확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AFP 연합뉴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AFP 연합뉴스
이 같은 모습은 코로나19가 불러온 지도자들의 위기감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현 상황을 ‘정치의 암흑기’라고 표현하며 “팬데믹의 첫 희생자는 (각국의) 리더십이 됐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전대미문의 위기감은 지도자들을 더 자주 카메라 앞에 서게 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은 존슨 총리는 16일 첫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매일 회견을 갖기로 했다. 마크롱 대통령도 프랑스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자 12일에 이어 나흘 만에 다시 담화문을 발표해야 했다.

낙관적 메시지나 자신감을 보여 줬던 국가 지도자들이 예외 없이 코로나19의 무서움을 몸소 체험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앞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위기가 지나치게 과장됐다” “언론이 만들어낸 환상”이라며 사태의 심각성을 축소했지만, 그사이에 대통령 주변에서만 이날 현재 6명이 양성 판정을 받는 상황에 이르렀다. 마찬가지로 당초 “잘 준비돼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제 짙은 얼굴색을 띠며 관련 회견에 매번 나서는 상황이 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의 최대 적은 조 바이든이 아닌 코로나19가 됐다”고 평가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3-18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