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칭찬하며 한국 때리기… 대북 협상모드 전환하나

김정은 칭찬하며 한국 때리기… 대북 협상모드 전환하나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7-05-02 18:14
업데이트 2017-05-02 2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정부 입장 변화 왜

외교안보 수장들 ‘유화 제스처’… 틸러슨 북미 대화 첫 언급 주목
극단적 압박·대화 병행 가능성… ‘통미봉남’ 우려… 한미 공조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외교안보부처 수장들이 최근 들어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대응 톤을 갑자기 바꾸고 있어 배경이 주목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때 했던 발언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띄워 주며 북·미 간 대화 가능성을 시사해 대북 ‘최대의 압박과 개입’ 정책에 따라 밀어붙이기에 이어 대화와 협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 케네디 가든에서 독립 은행연합회 회원에게 “취임 후 100일간 지방 은행을 살리기 위한 규제 개혁에 최선을 다했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상황이 적절하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 케네디 가든에서 독립 은행연합회 회원에게 “취임 후 100일간 지방 은행을 살리기 위한 규제 개혁에 최선을 다했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상황이 적절하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트럼프 정부의 입장 변화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상원의원 대상 대북 정책 브리핑을 한 뒤 발표된 합동성명으로부터 시작됐다. 그전까지 대북 선제타격 등 군사적 옵션 가능성을 거론하고 ‘세컨더리 보이콧’ 등 추가 제재를 하겠다며 으름장을 놨던 트럼프 정부가 갑자기 “미국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로운 비핵화를 추구한다. 우리는 그 목표를 향해 협상의 문을 열어두겠다”며 유화적 제스처를 취한 것이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한 인터뷰에서 북·미 양자 대화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취임 100일을 맞아 한 각종 인터뷰에서 김정은이 27살의 젊은 나이에 정권을 잡아 대단하다며 그가 “꽤 영리한 친구”라고 평가했다. 이어 1일에는 “내가 김정은을 만나는 것이 적절하다면 그것을 하는 것은 영광일 것”이라며 공개 회담 의사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유세 때 김정은의 권력을 칭찬해 논란을 야기한 뒤 5월과 6월 인터뷰와 유세에서 김정은과 대화하는 데 문제가 없다며 “그가 미국에 온다면 만나겠다. 햄버거를 먹으며 더 나은 핵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의 연장선상일 수 있지만, 지난 1월 20일 취임 후 김정은과 만나겠다고 밝힌 것은 처음으로, 정책 변화가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매일 안보 브리핑을 들으면서 김정은에 대해 많이 연구를 해서 그가 이성적이었으면 한다고 밝힐 정도로 이해력을 높였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중국을 통해 북한을 때리고 있지만 공을 북한에 넘긴 만큼 북한이 움직이면 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극단적 제재와 압박은 극단적 대화와 협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6~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이후 “시 주석이 대북 압박에 노력하고 있다”고 거듭 칭찬한 데 이어 김정은까지 칭찬 대상으로 언급한 반면 한국에는 사드 비용을 청구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또는 종료를 주장해 한국을 경시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소식통은 “한국이 대선을 앞두고 있어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엄청난 청구서를 들이밀었다”며 “새 대통령이 뽑힌 뒤에도 한·미 간 손발이 맞지 않아 트럼프 정부가 대북 정책을 주도하면서 또다시 ‘통미봉남’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한·미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7-05-03 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