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진핑 “보호무역, 어두운 방에 자신을 가두는 것”

시진핑 “보호무역, 어두운 방에 자신을 가두는 것”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1-17 22:46
업데이트 2017-01-17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보스 포럼서 첫 기조연설

트럼프 맞선 ‘세계화 기수’ 자처
“보호무역주의 NO라고 말해야”
英 메이 총리, 시주석과 회담도
트럼프측 “근본없는 모임” 폄하


이미지 확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막한 제47차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미소를 띠며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다보스 AP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막한 제47차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미소를 띠며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다보스 AP 연합뉴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보호무역주의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에 맞서 세계화의 깃발을 치켜 들었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17일 개막된 2017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 중국 주석으로는 처음으로 참석한 시 주석은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자본과 상품, 사람의 이동을 막으려는 노력은 대양에서 고립된 호수와 같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서방 포풀리스트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세계화의 흐름은 거스를 수가 없다”며 트럼프 당선자를 직접 겨냥했다.

시 주석은 또 “무역전쟁에서 승자는 없다”면서 “보호무역주의를 좇는 것은 어두운 방안에 스스로를 가두는 일”이라며 트럼프 당선자가 선언한 미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는 보호무역주의에 대해서 아니(No)라고 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세계화를 향한 중국의 노력은 일렁이는 파도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우리는 세계화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웠으며 이러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며 중국이 세계화와 자유무역주의의 새로운 리더가 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AFP 통신은 “시 주석의 이날 연설은 미국의 쇠퇴와 일자리 감소의 원인을 중국과 세계화 탓으로 돌리고 있는 트럼프를 비판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는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 등 미국우선주의를 공약으로 내건 만큼 다보스포럼을 철저히 외면했다. 트럼프 정부의 백악관 수석 전략가로 내정된 스티브 배넌은 다보스포럼을 ‘근본 없는 글로벌 엘리트의 모임’으로 폄하하고 “이들에게는 보통 사람이나 개별 국가의 사정은 안중에도 없다”고 비판했다.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 앨 고어 전 부통령 등 민주당 인사가 참석했다.

특히 다보스포럼의 단골 주제는 세계화였지만 올해는 다소 시들해진 분위기다. 미국 이외에 독일과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 각국에서 올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보호무역과 이민 반대를 내세운 극우 포퓰리즘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의제를 제시했던 지난해 포럼과 달리 올해는 기술 발전이 제공하는 기회보다는 포퓰리즘에 대한 대응 방안, 빈부 격차와 난민 문제의 해소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다보스포럼의 단골손님이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올해 9월 총선을 앞두고 내치에 집중하고자 이번 포럼에 불참했다. 오는 4~5월 대선 이후 물러나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도 참석하지 않았다. 유럽 역시 보호무역주의와 일맥상통하는 극우 포퓰리즘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세계화를 논할 겨를이 없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향방도 이번 포럼의 주요 화두 중 하나로 꼽힌다. 필립 해먼드 재무장관이 이끄는 영국 대표단은 이번 포럼에서 영국이 자유무역의 첨병 역할을 계속할 것이며 브렉시트가 세계 경제에 해롭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BBC는 테리사 메이 총리가 이날 브렉시트에 대한 연설을 마친 뒤 다보스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 기드온 래크먼은 칼럼을 통해 “다보스포럼의 가치관이 전례 없는 공격을 받고 있으며 정치적 격변이 다보스포럼에 그림자를 드리웠다”고 경고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서울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7-01-18 1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