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더를 지켜라” 글로벌 기업들에 비상

“리더를 지켜라” 글로벌 기업들에 비상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3-30 17:21
업데이트 2020-03-30 1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뉴욕 월가에서 코로나19에 따른 합병증으로 투자은행 고위직 인사가 사망함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경영진 건강 유지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지난 29일 페그 브로드벤트 CFO의 코로나19 합병증에 따른 사망 소식을 알린 미 뉴욕의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의 로고. 뉴욕 AP 연합뉴스
미국 뉴욕 월가에서 코로나19에 따른 합병증으로 투자은행 고위직 인사가 사망함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경영진 건강 유지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지난 29일 페그 브로드벤트 CFO의 코로나19 합병증에 따른 사망 소식을 알린 미 뉴욕의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의 로고. 뉴욕 AP 연합뉴스
세계 금융의 심장부인 미국 월가에서 코로나19로 첫 고위직 인사가 사망함에 따라 경영인들의 건강 유지에 비상이 걸렸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인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의 페그 브로드벤트(56)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9일(현지시간)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제프리스그룹은 이날 리치 핸들러 최고경영자(CEO) 명의로 이같은 소식을 전하고 “브로드벤트 CFO는 10여년 재직하며 회사 성장에 이바지했다”며 고인을 기렸다. 고인은 글로벌 IB 모건스탠리에서 16년간 일한 후 제프리스그룹에 2007년 합류했다. 제프리스그룹은 테리 젠드론을 임시 CFO로 임명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브로드벤트는 월가의 코로나19 첫 고위직 사망자인데 이는 월가가 직면한 리더들의 건강 리스크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CFO는 단순히 회사의 재무부서만 책임지는 임원 아니라 CEO 부재 시 공백을 채우는 역할도 한다. 이런 까닭에 브로드벤트처럼 중요한 직책에 있는 인사들이 코로나19로 사망하거나 업무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회사 전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 현재 월가 최장수 CEO인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은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은 아니지만 이달 초 심장 응급수술을 받아 후계자를 물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월가뿐 아니라 일반 기업들에서도 고위 임원들이 잇따라 코로나19에 노출돼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말보로’로 유명한 담배제조업체 알트리아그룹은 지난 20일 “하워드 윌라드 회장 겸 CEO가 코로나19 환자와 접촉해 일시적으로 병가를 낸다”며 “우리는 윌라드 CEO와 긴밀한 접촉을 한 사람들에게도 14일간의 자가 격리를 요청했다”는 성명을 냈다. 영국 최대 통신업체 브리티시텔레콤(BT)그룹과 미국 NBC유니버설 CEO는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 스페인 최대 은행 방코산탄데르의 포르투갈 법인 회장도 이달 초 코로나19로 사망해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특히 월가는 세계에서 가장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은 미국에서도 확산의 진앙지로 불리는 뉴욕에 있는 만큼 더욱 긴장된 분위기다. 미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30일 오전 기준으로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4만명을 돌파했다. 뉴욕주 확진자는 나흘 만에 2배로 불어나 6만명에 육박하고 사망자는 1000명 돌파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월가는 리더들의 건강을 지키고자 갖가지 방안을 동원하고 있다. 화상 회의는 기본이고 일부 기업은 핵심 임원들을 아예 격리시키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어떤 기업은 여전히 출장을 다니는 CEO를 위해 개인 제트기를 임대했고 또다른 기업은 임원들을 전 세계에 배치하고 있다. 임원 선발방식도 바뀌고 있다. 한 CEO 전문 헤드헌터는 “고객사들이 오직 화상회의로만 CEO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