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비싼 SUV만 잘 팔려… 美 자동차 산업 ‘K자형 회복’ 향하나

비싼 SUV만 잘 팔려… 美 자동차 산업 ‘K자형 회복’ 향하나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1-01-06 14:08
업데이트 2021-01-06 1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GM의 지난해 미국 내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에 비해 11.9% 감소했다. 그러나 SUV 판매호조에 힘입어 4분기 실적은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플린트 AFP 연합뉴스
GM의 지난해 미국 내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에 비해 11.9% 감소했다. 그러나 SUV 판매호조에 힘입어 4분기 실적은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플린트 AFP 연합뉴스
코로나19가 휩쓴 지난해 미국의 자동차 판매는 8년 만에 가장 저조한 실적을 냈다. 그런데 지난해 말 무렵부턴 더 크고, 더 비싸고, 더 옵션이 많은 차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 지고 있다. 코로나19에도 수입이 줄지 않은 가계는 큰 차를 즐기고, 실직한 가계는 차를 못바꾸는 양극화의 ‘K자형 회복’이 벌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2020년 미국 내 자동차 판매가 1440만~1460만대로 전년 대비 15% 급감, 2012년 이후 최저치라고 집계했다. 실제 이날 자동차 회사들은 지난해 저조한 연간 판매실적을 발표했다. GM(-11.9%), 현대차(-10.0%), 도요타(-11.3%), 혼다(-16.3%) 등 지난해 자동차 회사들의 미국 내 전년 대비 판매량은 두자릿수 퍼센트씩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직해 가계에 차를 살 돈이 없었거나, 재택근무가 일상화 돼 차를 쓸 일이 그만큼 줄어든 탓이다.

그런데 CNN은 지난해 미국 내 자동차 판매량의 변화 중 ‘양’ 뿐 아니라 ‘질’의 측면에 주목했다. 지난해 말부터 자동차 판매 회복이 이뤄지고 있는데, 특정 차종이 회복을 이끌고 이어서다.

현대차의 지난해 12월 미국 내 판매량은 6만 6278대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 증가했다. GM은 아예 4분기(9~12월) 전체 판매량이 전년 대비 4.8% 증가한 실적을 내놓았다. 물론 비교 시점인 2019년 4분기에 미국 내 GM 공장에서 파업이 있었기 때문에 기저효과가 작동한 것이지만, 이를 고려 하더라도 하반기 픽업 트럭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자동차 판매량 회복을 이끄는 흐름은 감지됐다. 또 GM의 4분기 평균 거래가격은 4만 1886달러(약 4550만원)를 기록, 비싼 차 선호 경향을 드러냈다.

오토트레이더의 미셸 크레브 선임연구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에도 직업을 유지해 월급을 받을 수 있었던 많은 미국인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못 쓴 여행·외식 경비를 주택 개량이나 새 차량 구입 같은 일에 지출했다. 저금리 대출을 받아 차량 구입대금을 치르기도 했다”고 판매 회복의 이유를 설명했다. 코로나19가 없었다면 경직성 필수경비에 준하던 돈인 외식비와 여행 경비가 가계 여윳돈이 되고, 여기에 저금리로 인해 가계는 사실상의 할부금 절감 효과를 얻게 됐다는 뜻이다.

크레브 선임연구원은 이어 “자동차 산업이 K자형 회복의 완벽한 예시”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K자형 회복’은 코로나19가 화이트컬러 직군의 고용 변화엔 당장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서비스업 등의 일자리엔 대규모 실업 상태를 만들어내,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란 전망을 뜻하는 용어다.

크레브는 “업무용 차량인 렌터카 업체로의 판매는 20% 가까이 급감한 반면, 풀옵션 SUV 차량만 시장에서 팔리는 상황에서는 미국 자동차 회사들이 3만 달러 미만 모델을 더 적게 공급하는 실정”이라면서 “이런 전략은 장기적으로 자동차 판매에 역풍이 될 것이며, 2019년에 수립했던 미국 내 1700만대 자동차 판매란 위업 달성은 당분간 어렵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