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야쿠자 ‘피의 복수전’ 갈수록 격화…최대 야마구치파 ‘넘버2’ 테러

日야쿠자 ‘피의 복수전’ 갈수록 격화…최대 야마구치파 ‘넘버2’ 테러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2-03 15:22
업데이트 2020-02-03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일본 야쿠자들의 세계를 그린 영화 ‘아웃레이지’ 포스터(2010년)  
일본 야쿠자들의 세계를 그린 영화 ‘아웃레이지’ 포스터(2010년)
 
일본 최대 지정폭력단 ‘야마구치 구미’와 ‘고베야마구치 구미’가 지난해 봄 시작한 피의 보복전이 현지 치안당국의 강력한 감시와 제재에도 아랑곳없이 지속되고 있다. 일본의 지정폭력단은 통상 ‘야쿠자’로 불리는 범죄 위험집단으로 ‘구미’(組)는 한국으로 치면 ‘파’(派)에 해당한다.

3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1시 30분쯤 미에현 구와나시 나가시마정에 있는 야마구치의 2인자 다카야마 기요시(73)의 집에 권총 3발이 발사됐다. 당시 집에는 아무도 없어 인명피해는 일어나지 않았다. 경찰은 총을 쏜 다니구치 유지(76)를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사하고 있다. 다니구치는 자신이 전직 야마구치 조직원이라고 경찰에서 진술했다. 경찰은 야마구치와 고베야마구치가 극한투쟁을 벌이는 와중이라는 점을 감안해 다니구치가 고베야마구치 쪽을 대신해 테러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뿌리가 같은 두 세력은 지난해 4월 이후 극한투쟁에 들어가 도심 한복판에서 반대편 간부를 사살하고, 상대편 본거지에 쳐들어가 흉기를 휘두르는 등 잔인한 테러를 계속해 왔다. 이에 오사카부, 아이치현, 미에현, 효고현 등 6개 부현 공안위원회는 지난달 두 조직을 ‘특정항쟁지정폭력단’으로 지정하는 초강수를 두었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야마구치의 ‘넘버2’의 주거지까지 총탄이 날아드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고베야마구치가 야마구치로부터 떨어져 나와 조직을 새로 결성한 것은 2015년 8월이었다. 당시 야마구치 내 최대 파벌인 ‘고도카이’가 전체 조직의 넘버1과 넘버2를 독식한 데 반발, 경쟁파벌이었던 ‘야마켄구미’ 등이 이탈해 고베야마구치란 이름으로 독립했다. 이후 양측은 원수 사이가 됐다. 현재 야마구치의 조직원은 약 4400명, 고베야마구치는 약 1700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에 총격을 받은 다카야마는 두목 시노다 겐이치(77) 체제에서 강력한 권력을 휘두르며 야마구치 전체 조직을 장악, 야마켄구미 등의 반발을 사 결과적으로 야마구치의 분열을 초래한 장본인으로 불린다. 특히 그가 지난해 10월 공갈 혐의로 5년을 복역하고 출소하면서 양측의 대립이 격화됐다. 출소에 맞춰 그에게 잘 보이려는 야마구치 내 하부 조직들의 충성경쟁이 심해졌고 이것이 적대조직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양측의 전쟁은 지난 4월 고베야마구치 간부가 야마구치 조직원에 의해 테러를 당하면서 본격화됐다. 8월에는 야마구치 측이 보복을 당했고 10월에는 다시 고베야마구치 소속 2명이 야마구치 조직원에 의해 사살됐다. 11월에는 야마구치 쪽의 공세가 더욱 거세져 고베야마구치 전체 간부 5명 중 3명이 습격을 당했다. 이 중 한 명은 자동소총을 28발이나 난사당해 사망했다.

대립이 격화되자 치안당국은 지난달 7일부터 두 조직을 특정항쟁지정폭력단으로 지정했다. 이 조치는 폭력단들의 투쟁으로 일반시민들이 희생될 우려가 있을 때 취하는 것으로 ‘이동의 자유’ 등 기본인권의 제한도 가능하다. 해당 조직원은 5명 이상 모여 있는 것만으로 바로 경찰에 체포될 수 있다. 적대 조직의 사무소나 관계자의 집 근처에 접근하는 것도 일절 금지된다. 그러나 이번에 넘버2가 직접적인 공격을 받은 만큼 야마구치가 다시 고베야마구치에 대해 공격의 고삐를 죌 가능성이 커졌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