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바늘로 100번 찔러도 끄떡없어” 무시무시한 코로나 바이러스

“바늘로 100번 찔러도 끄떡없어” 무시무시한 코로나 바이러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9-20 11:15
업데이트 2020-09-20 1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팀 분석

미세바늘로 찌른 뒤 바늘 빼면 원상회복
90도로 10분간 가열해도 영향 거의 없어
코로나19 바이러스. EPA 연합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EPA 연합뉴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바늘로 100번을 찌르고 90도 열을 가해도 바이러스 입자가 손상되거나 파괴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진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지난 17일 동료 검증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코로나바이러스 입자가 바늘로 몇차례 찔리면 풍선처럼 터지는지 실험했다. 그러나 입자는 터지지 않았다. 직경 80㎚(100만분의 1㎜)인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를 미세바늘로 끝에서 끝까지 찔렀지만 모양이 찌그러질 뿐 바늘을 빼면 다시 원상회복했다.

연구팀은 100번이나 같은 작업을 했지만 그때마다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는 터지지 않고 거의 온전한 모양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또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에 90도의 열을 10분간 가했으나 “원형의 모양이 아주 조금만 바뀌었을 뿐 거의 영향이 없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4월 프랑스 연구진은 1시간 동안 60도의 열에 노출된 코로나바이러스가 죽지 않고 동물 세포 안에서 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는 날씨가 더워지면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여름철 북반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폭발적으로 확산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세멜바이스대 연구진은 코로나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열에 그을리면 일부 떨어져나갔지만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구조는 온전한 상태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숙주 세포에 침입하는데, 지금까지 연구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는 연구에 따라 24~40개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멜바이스대 연구진은 코로나바이러스 입자 표면에서 그보다 많은 61개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지금껏 알려진 바이러스 중 최고의 탄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런 놀라운 자가 치유력은 이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각기 다른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