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선의 性’ 밝고 개방적이었다

‘조선의 性’ 밝고 개방적이었다

입력 2010-06-30 00:00
업데이트 2010-06-30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메야 일본교수 ‘조선시대의 음담… ’ 주제 강연

조선시대에는 정말 성(性)이 억압당했을까. 성리학적 세계관을 생각하면 답은 “그렇다.”이다. 그러나 위선적인 도덕률 밑에는 언제나 욕망의 탈주가 깔려 있는 법. 반론은 딱 한마디면 된다. “하지 말란다고 진짜 안 했겠나.”

이미지 확대


영화감독 김대우는 이 부분을 파고들었다. 전작 ‘음란서생’에서는 밤마다 저잣거리 세책점(오늘날의 도서대여점)에 하녀들을 내돌려 ‘흑곡비사’ 따위의 야한 소설을 구해다 읽는 주인 마님들의 독후감 장면을 담았다. 개봉작 ‘방자전’은 춘향 모독 논란이 있다지만, 정색하고 화낼 필요는 없어 보인다.

춘향전은 다양한 판본이 전해지는데 후대의 것일수록 춘향의 신분이 기생에서, 기생의 딸로, 다시 주막집 딸로 업그레이드됐다는 연구도 있다. 하룻밤 놀잇감에 불과한 천한 기생 따위가 지체 높은 양반과 진짜 사랑을 한다는 것은 조선에서는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 되는 일. 세월이 흐르면서 질펀한 육욕과 신분적 차이가 희석됐을 것이란 추론이다.

서구에서도 그림 형제가 정리한 동화의 판본별 변화를 추적, 분석한 연구가 많다. 연구들에 따르면 원래 민담 수준에서는 남녀의 성기와 야합을 직접 거론하는 등 더 적나라했으나 정리 과정에서 빠지거나 부드러워졌다는 것이다.

가령 백설공주는 어려서부터 뽀얀 피부로 친아버지를 매혹시킨 근친상간의 팜므 파탈이었고, 개구리 왕자 도입부에 공주가 공(ball)을 가지고 노는 장면은 나른한 궁 생활에 지친 공주의 자유분방한 성생활 탐구를 뜻한다는 등의 분석이다.

오늘날 그림 형제의 동화가 말 그대로 얼마나 동화스러운가를 보면, 금욕을 내건 성리학의 조선에서, 더구나 비인간적인 예학을 강요하다시피 한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 얼마나 많은 성에 대한 기록들이 사라져 갔을지 짐작할 수 있다.

이런 논의에 관심있다면, 1일 오후 4시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소에서 열리는 강연을 챙겨볼 만하다. 소메야 도모유키 일본 이바라키 그리스도교대학 교수가 ‘조선시대의 음담, 밝은 성의 세계-한·일 자연관의 차이에 근거하여’라는 제목으로 강연한다.

소메야 교수는 2008년 후쿠오카의 한 고서점에서 ‘기이재상담(紀伊齋常談)’이란 책을 발굴했다. 상담(常談)은 민가의 얘기라는 뜻이고 ‘기이재’의 뜻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조선 땅에 떠돌던 음담패설 모음집 같은 것인데, 19세기 말~20세기 초쯤 조선말을 배우려는 일본인들이 교재로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포르노 덕분(?)에 일본어 지식이 늘어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책에는 학질을 치료한다는 핑계로 비역질(동성애)을 즐기거나, 관리가 민가의 아낙네를 당당하게 겁탈하기도 하고 부인이 남편을 두 명씩 두기도 했다는 등의 얘기가 우스갯소리처럼 실려 있다. 책은 최근 ‘조선의 음담패설’이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됐다.

소메야 교수는 강연에 앞서 내놓은 초록에서 “조선 때는 밝고 개방적이고 해학적인 성 문화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예로부터 한국에는 발달한 성 문화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소메야 교수는 “서민을 중심으로 (성 문화가) 문예화되거나 향수(享受)되어 온 게 아닌가 싶다.”면서 “(이런 연구가 축적되면) 유교적 이념적 문화가 중심이 되는 한국의 기본적 이미지에 큰 변혁을 재촉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으리들의 고결한 금욕주의는 책에나 있었다는 얘기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30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