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남선 일제시대 행적 ‘신화학’으로 짚어보기

최남선 일제시대 행적 ‘신화학’으로 짚어보기

입력 2010-11-24 00:00
업데이트 2010-11-24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화여대서 27일 학술대회 열려

육당 최남선(1890~1957)에겐 명암이 엇갈린다. 이광수·홍명희와 함께 조선의 3대 천재로 꼽혔으나 1940년대 끝내 친일 행렬에 발을 담그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정적인 시선이 압도적이지만, 그의 일제시대 행적을 복권하고자 하는 노력도 나온다. 친일 행적은 밉지만, 연구해 둔 성과까지 함께 묻어 버리기는 아깝다는 차원에서다. 그의 연구를 ‘신화학’의 입장에서 되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미지 확대
육당연구학회와 이화여대 인문학연구원은 27일 서울 대현동 이화여대 인문관에서 ‘육당 신화학의 경역(境域)과 그 문화사적 의의’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쉽게 말해 1920년대에 최남선이 펼친 ‘불함(不咸) 문화론’을 되살려 보자는 의도다.

불함은 ‘백’, 혹은 ‘밝’의 뜻을 가진 백두산의 다른 이름으로,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민족들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뜻한다. 이들 민족이 바로 청나라의 만주족, 조선의 한족, 일본의 화족이라고 보는 견해가 불함문화론이다.

그런데 이런 주장, 요즘엔 흔하다. 이른바 ‘재야 사학’이라 통칭되는 곳에서 자주 접하는 얘기들이다. 좁은 민족주의에 갇힐 위험성을 경고하는 반박이 당장 터져나올 법하다. 구체적 내용이야 어찌됐든 ‘일본이 하면 대동아공영권으로 사람 할 짓 못되고, 한국이 하면 불함문화론이라 평화적이고 괜찮다는 말이냐.’는 비판도 나올 만하다.

‘신화학’은 그래서 내걸린, 일종의 우회로일 수 있다. 역사적 사실의 영역이 아니라 신화의 영역에서 공통의 정서를 발견해 보자는 것이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맞서 동양의 신화 정립에 노력해 온 정재서 이화여대 중문과 교수는 육당의 신화학이 중국의 신화에 많이 빚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따왔는지 자체보다 중국을 동아시아 문화권의 일부로 여긴다는 태도에 방점을 찍는다. 정 교수는 이런 육당의 태도에서 신화학이 민족주의적 배타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반면 동북아 샤머니즘 연구에 몰입해 온 양민종 부산대 노문과 교수는 불함문화론의 기반이 되는 단군 신화를 시베리아 신화와 연결짓는다. 양 교수가 주목하는 대목은 육당이 1927년 출간된 ‘시베리아 샤머니즘’을 봤다는 점, 바이칼 호수 주변 종족의 이야기인 게세르 신화가 단군 신화와 유사하다는 점 등이다. 여기에 근거해 양 교수는 단군을 한민족 기원 신화가 아니라 동북아 전반에 펼쳐진 신화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1-2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