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제국식 총력전, 식민지에 폭력 메커니즘 남겨”

“제국식 총력전, 식민지에 폭력 메커니즘 남겨”

입력 2011-03-24 00:00
업데이트 2011-03-2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일 트랜스내셔널 인문학강좌 시리즈 윤해동 한양대 교수 ‘식민지 근대’ 강의

‘식민지 근대화론’ ‘한국적 근대의 식민지적 기원’ ‘식민지 근대’(Colonial Modern)는 비슷해 보이지만 온도 차가 제법 크다. 식민지 근대화론을 식민지 덕분에 한국이 근대화된 것으로 이해한다면, 한국적 근대의 식민지적 기원은 말 그대로 한국이 근대를 경험하기 시작한 것을 식민 시기라고 본다.
이미지 확대
윤해동 한양대 교수
윤해동 한양대 교수


식민지 근대는 앞서 두 관점 모두 ‘근대는 정상이었으되, 식민지가 일탈적 상황’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출발한다. 식민지 자체가 이미 근대였다는 주장이다.

식민지 근대 개념을 내놓은 윤해동 한양대 교수(사학)가 오는 25일 이 대학 비교역사문화연구소(소장 임지현)가 주최하는 ‘2011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강좌 시리즈’ 첫 타자로 나선다. 화려한 강사진이 최근의 인문학 열기와 맞물려 시선을 끈다.

윤 교수는 이 자리에서 ‘예(礼)로부터 피(血)로의 이행-동아시아 식민주의의 근대적 성격’을 발표한다. 윤 교수가 지적하는 대목은 이렇다. “제국에서는 총동원 체제가 전후(戰後) 복지국가 모델로 전환하는 토대가 됐다. 이는 총력전 체제의 제국적 변용으로 근원적인 식민주의 청산이 불가능했다는 점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1·2차 대전 당시 일본을 포함한 서구 열강은 ‘총력전 체제’를 구축하고 국민을 동원했다. 그 동원의 대가로 서구 열강은 전쟁 뒤 자국민에게 복지국가를 안겼다. 덕분에 열강의 국민들은 수준 높은 복지를 누렸고, 식민 지배에 대한 문제의식은 잊어버렸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8월 한·일 강제 병합 100년을 맞아 시민단체 회원들이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식민 지배가 불법이냐 합법이냐를 넘어 그것이 남긴 부정적 유산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나왔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지난해 8월 한·일 강제 병합 100년을 맞아 시민단체 회원들이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식민 지배가 불법이냐 합법이냐를 넘어 그것이 남긴 부정적 유산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나왔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더 큰 문제는 피식민국가였다. 피식민국에게 남은 것은 총동원 체제가 갖고 있던 폭력적인 메커니즘뿐이었다. 그렇다고 제국주의 국가들처럼 ‘복지’를 선물할 능력도 없었다. 남북한에 지금도 남아 있는 총동원 체제의 잔재를 윤 교수는 이와 연결지어 해석한다. 단순히 식민 지배가 불법이고 문제가 있었다고 시인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그 이후에까지 이어지는 문제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이 요구된다는 주장이다. 이삼성 한림대 교수와 김백영 광운대 교수가 토론자로 나선다.

4월에는 김규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사학과 교수가 ‘제국 대 민족-제국의 모순과 씨름하는 일본 지식인들, 1919~1945’, 9월에는 정근식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가 ‘식민지 통치성과 검열’, 10월에는 리투 비를라 캐나다 토론토대 사학과 교수가 ‘법, 계약과 경제적 인간의 배열: 자유주의 통치성의 식민지적 계보’, 11월에는 스티븐 레그 영국 노팅엄대 지리학과 교수가 ‘규모와 식민지 통치성: 전간기 인도에서의 민주주의, 전제주의와 권한 이양’을 주제로 각각 발표에 나선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3-2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