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클럽데이의 부활] “기내지·외신 단골 소개…독자 문화브랜드로 육성”

[클럽데이의 부활] “기내지·외신 단골 소개…독자 문화브랜드로 육성”

입력 2011-06-25 00:00
업데이트 2011-06-2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래서 참가

홍익대 앞 클럽들의 모임인 클럽문화협회 최정한(54) 회장은 클럽데이 부활을 주도한 인물이다. 지난 22일 홍대 앞 협회 사무실에서 최 회장을 만났다.

이미지 확대
클럽문화협회 최정한 회장
클럽문화협회 최정한 회장
→클럽데이를 5개월 만에 부활시킨 이유는.

-클럽데이가 중단된 이유는 지나친 상업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2001년 첫 도입 이후 10년째 수익 배분과 운영 등이 똑같은 원칙에 의해 이뤄졌다는 데 있다. 라이브클럽과 댄스클럽이 홍대라는 이름으로 한데 섞이다 보니 융합보다는 서로 단절된 채 운영돼 왔다. 초창기만 해도 클럽 규모가 비슷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클럽 간 규모 차이가 났다. 클럽데이 운영 수입을 경제공동체 개념으로 분배하다 보니 갈등이 생겨났고 매너리즘에도 빠졌다. 그래서 잠시 자성의 시간을 갖기 위해 클럽데이를 중단했다. 그런데 막상 중단하고 보니 규모가 작은 클럽의 경영난이 심화됐다.

→클럽데이 부활을 우려하는 시선도 여전히 존재한다.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클럽데이는 홍대만의 브랜드 상품이다. 외신은 물론 기내지에도 단골 메뉴로 소개되는 문화 상품이다. 문화 형성 과정은 이른바 발효식품과 같다. 적당한 온도와 효소에 의해 잘 익은 발효식품이 탄생하듯 클럽데이도 연대와 노력을 통해 긍정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본다.

→라이브클럽이 불참해 반쪽짜리라는 지적도 있는데.

-공연 위주인 라이브클럽은 거의 밤 12시쯤 되면 손님들이 클럽을 떠난다. 반면 댄스클럽은 그때부터가 시작이다. 이전에도 융합되기 어려웠던 요소다.

→갈등의 불씨였던 수익 공동 배분 원칙은 바뀌나.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약간의 운영의 묘는 살리기로 했다. 클럽 간 격차나 환경 변화를 수용한 규칙이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6-25 14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