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리말을 금지한 일제강점기, 창작의 고통이란…

우리말을 금지한 일제강점기, 창작의 고통이란…

입력 2013-04-24 00:00
업데이트 2019-10-23 1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김동리, 김동석, 김현승, 박계주, 양명문, 이태극, 조명암 등 올해로 탄생 100주년이 된 한국의 기념비적 작가를 기리는 ‘2013년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가 열린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는 ‘겨레의 언어, 사유의 충돌’이라는 대주제로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 태어난 소설가 김동리(1995 사망)와 김현승(1975), 대중소설 ‘순애보’의 작가 박계주(1966), ‘뿌르조아의 인간상’이란 평론집을 재판까지 찍은 비평가 김동석(?), 시인이자 가곡 ‘명태’의 작사가인 양명문(1985), 시조시인 이태극(2003), 극작가 조명암(1993) 등을 선정해 조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들은 1910년 이전에 태어나 ‘의사’(義士)로서 정체성을 확보한 문인들과 달리 예술로서의 문학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인 세대다. 또한 해방으로 국권이 회복되자 ‘해방 공간에서 문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를 본격적으로 고민했다. 해방 직후 김동리와 김동석이 치열하게 벌인 ‘순수문학 논쟁’이 최초의 문학 논쟁으로 자리 잡게 된 이유다.

1913년생 문인들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일본어가 아닌 우리말로 작품을 써야 하는 고민과 해방후 민족의식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갈등했다. 우리말로 창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우리의 언어와 민족의식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것이다. 김동리는 일제 말기에 절필에 들어갔을 정도다. 물론 ‘알뜰한 당신’ 등 대중가요를 1000곡 이상 작사한 조명암은 친일 희곡을 쓰기도 했다. 해방이 되자 조명암은 좌익 활동을 한 뒤 월북해 북한 문화성 부상까지 지냈다. 1940~60년대까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던 ‘순애보’를 쓴 박계주는 당시 대중 작가로 엄청난 인기를 모았다.

올해로 13회를 맞는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는 우선 5월 2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세미나실에서 ‘우편향적 논리와 좌편향적 논리의 대립-김동리와 김동석의 순수문학 논쟁’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심포지엄 기획위원장인 전영태 중앙대 문창과 교수는 개성 있게 살아온 문인 7명의 인생을 통해 당시 한국 문단의 모습을 복원했다. 전 교수는 이날 “김동리가 내세운 순수문학을 김동석이 비판해 촉발된 ‘순수문학 논쟁’은 이념과 이데올로기로 점철된 시대에 서로 객관적으로 바라볼 여유를 가지지 못한 채 처절한 실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오늘날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김동리 단편소설 8편을 대상으로 한 김동리 문학 그림전 등을 비롯해 9월 이태극 심포지엄 등이 준비됐다.

한편 탄생 100주년을 맞았지만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로 시작하는 동요 ‘자전거’의 작가인 시인 목일신은 이번에 배제됐다. 이 한 편의 작품을 제외하고는 목 시인이 탁구선수 육성에 평생을 바쳤기 때문이라고 기획위원들은 밝혔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4-24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