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반구대 암각화 보존해법으로 나온 카이네틱 댐

반구대 암각화 보존해법으로 나온 카이네틱 댐

입력 2013-06-16 00:00
업데이트 2013-06-16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시제방의 일종..주변 경관 훼손 우려 엄존

정부가 물속에 잠겼다가 나오는 일을 되풀이하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를 물에서 건져내기 위한 해법으로 제시한 카이네틱 댐(Kinetic Dam)은 우선 개념 자체가 생소하다.

실제 구글(google) 같은 영어 검색엔진을 돌려봐도 ‘Kinetic Dam’이라는 표제어가 따로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kinetic’이라는 말이 운동에 의해 움직인다는 뜻이므로 카이네틱 댐이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댐 자체가 움직인다는 뜻이다.

암각화 보존 방안으로 나온 카이네틱 댐은 건축가 함인선 씨가 지난달 9일 제안한 것이다. 이 댐은 한양대에 출강도 하는 그가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냈다.

암각화 보존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찾던 문화재청은 최근 함씨를 불러 설명을 직접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 방안 역시 암각화 주변 경관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함씨의 이런 제안은 집권여당인 새누리당과 다른 정부 부처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그에 앞서 새누리당은 지난달 2일 황우여 대표가 주재하는 가운데 울산 반구대암각화박물관서 최고위원 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황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는 암각화가 물에 잠기는 원인이 되는 사연댐 수위를 낮추자는 문화재청 주장과 주변에 생태제방 등을 쌓아 보호하자는 울산시 주장을 절충한 제안이라면서 ‘임시제방안’을 들고 나왔다.

요컨대 암각화 주변에 언제든지 철거할 수 있는 임시제방을 쌓아 우선은 암각화를 자맥질에서 구하자는 것이다.

이런 집권여당의 구상은 실로 절묘하게 함씨가 제안한 ‘카이네틱 댐’과 공통분모를 이룬다.

그것은 카이네틱 댐이라는 개념 자체가 임시제방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정부가 암각화 보존해법으로 이 방식을 채택한 것은 다른 무엇보다 울산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이 6명이나 포진한 집권당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정부나 함씨는 카이네틱 댐의 개념을 ‘암각화 전면에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투명막(폴리카보네이트)으로 된 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폴리카보네이트란 합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강화유리보다 충격 내구성이 150배 이상 크며 유연성 및 가공성 우수하다고 덧붙였다.

그 구조는 이동식 기초에다가 조립식 철골조, 조립식 막 구조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고 한다.

사연댐이 만수일 때의 카이네틱 댐을 제시한 모형을 보면, 이 댐은 암벽에 있는 암각화 전면으로 반원형 모양으로 빙 둘러가며 설치된다.

정부는 이 방식이 우선 접이식 댐이므로 기존 자연경관이나 지형 변경을 유발하지 않으며, 두 번째로 투명 댐이기에 울산시가 기존에 제안한 생태제방안의 일조 차단에 따른 이끼 발생 방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이동식 댐이므로 조립ㆍ해체가 쉽고 수위변동에 따라 댐 높이가 변경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운다.

하지만 이 방식이 과연 이런 장점을 고루 지니는지 논란이 적지 않다.

예컨대 암벽과 맞닿는 암각화 양쪽 측면을 정말 암벽을 훼손하지 않고 방수처리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무엇보다 암벽화 바로 전면 모랫바닥에다가 철골조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경관 훼손 논란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구체적인 설계 단계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겠지만, 함씨가 제안한 구상안에 따르면 카이네틱 댐은 암각화를 중심으로 앞쪽에 철근을 이용한 기초를 한 후 약 30m 길이의 원형 제방을 쌓는 방식이다.

이에 의하면 암각화 바로 앞에다가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한 철근을 박아야 한다.

이는 암각화 앞 80m 떨어진 지점에 생태제방을 쌓자는 울산시 안보다도 훨씬 더 암각화 주변 경관을 훼손할 수 있다는 논란을 일으킬 소지가 있다.

이 방식은 그동안 문화재청이 반대하던 임시제방안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향후 이를 둘러싼 문화재위원회 심의 결과도 초미의 관심거리다.

한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 체결한 이번 MOU에는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공동 책임으로 기술평가팀을 운영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무조정실 두 기관이 조정·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암각화 보존 문제를 놓고 문화재청과 울산시 사이에 형성돼온 대립구도가 이전보다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