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여 화지산 유적서 사비 백제 건축양식 확인

부여 화지산 유적서 사비 백제 건축양식 확인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9-09 22:34
업데이트 2019-09-10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궁 이전 거론된 곳서 목탄 보강 구조물… 일부 온돌·아궁이 사용 가능성 보여줘

이미지 확대
화지산 유적지에서 출토된 목탄 흔적
화지산 유적지에서 출토된 목탄 흔적
백제 사비도읍기(538∼660) 시대에 궁을 이전한 터로 거론되는 화지산 유적(사적 제425호)에서 목탄으로 보강한 백제시대 구조물이 나왔다. 일부 토기 소품은 온돌이나 아궁이의 존재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라 주목을 받는다.

9일 부여군과 백제고도문화재단에 따르면 충남 부여 궁남지 동쪽에 있는 화지산 유적에서 당시 건물 내부 시설과 기단, 주춧돌 위에 쌓는 돌무더기를 가리키는 적심을 비롯한 각종 토기를 발굴했다.

벽체 혹은 지붕 아래에 설치한 구조물의 심벽(골조를 도드라지게 만든 벽)으로 추정되는 목탄은 비교적 굵은 목재를 다듬어 가로 72㎝, 세로 36㎝ 사각 틀을 만들고, 안쪽에 싸리나무 종류의 얇은 나무로 세로 13줄, 가로 1줄을 엮었다. 배수구에서는 물을 이용한 의례 시설로 짐작되는 건물의 자취가 드러났다.

출토 유물은 기와류가 가장 많았다. 연꽃무늬 수막새, 도장이 찍히거나 글씨가 새겨진 기와 등이다. 이 중 ‘百十八’(백십팔)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암키와도 있었다. 문화재단 측은 “기왓가마에서 기와를 납품할 때 수량을 세었던 의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사비백제 후기의 소형 토기인 점토 용기, 뚜껑, 물건을 담아 저장하는 데 쓰는 질그릇인 ‘대부완’ 등과 기대 조각, 수각이 달린 대형 토기 조각, 등잔, 중국제 녹유자기, 연통에 비나 눈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연가 조각 등이 이번 조사에서 나왔다. 특히 연가 조각은 화지산 유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온돌이나 아궁이의 사용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2월부터 발굴 중인 화지산유적 6차 조사다. 앞서 재단은 지난 7월 길이가 대략 가로 8m, 세로 5.3m인 건물터를 포함해 백제 초석 건물터 3동을 새롭게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들 건물지들은 2018년 5차 조사에서 확인된 초석건물지 3동과 일렬로 서로 연결된 상태였다. 한편 문화재단은 내년에도 화지산 유적 발굴을 진행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9-10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