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계·스펙의 벽앞에 선, 88만원 청춘 예술가

생계·스펙의 벽앞에 선, 88만원 청춘 예술가

입력 2014-01-22 00:00
업데이트 2014-01-22 04: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업: 생활하는 예술가’展

고즈넉한 빨간 벽돌 위에 청바지 차림의 청춘 남녀가 무리 지어 앉아 있다. 20여명의 ‘젊음들’은 가지런히 두 손을 모으거나 주머니에 손을 찌른 채 한가로이 어딘가를 응시하는 모양새다. 넓고 화려한 갤러리와 어쩐지 좀 어울리지 않는 듯한 작품은 조명을 받아 더 애처로워 보일 따름이다(이우성 ‘붉은 벽돌 위에 앉아 있는 사람들’·2014년).

이미지 확대
이우성 작가의 ‘붉은 벽돌 위에 앉아 있는 사람들’
이우성 작가의 ‘붉은 벽돌 위에 앉아 있는 사람들’ 대형 천에 그림을 그려 표현한 ‘붉은 벽돌 위에 앉아 있는 사람들’은 88만원 세대 예술가들이 느끼는 사회의 높은 벽과 불안감을 형상화했다.

두산갤러리 제공


이미지 확대
안데스·이수성 작가의 ‘패배를 위한 기념비’
안데스·이수성 작가의 ‘패배를 위한 기념비’ ‘패배를 위한 기념비’는 작가들이 황학동 시장 등에서 사 모은 1000~2000원의 싸구려 옷들로 만든 높이 5.2m의 옷탑으로, 기성 자본주의에 도전한다는 뜻을 담았다.

두산갤러리 제공


88만원 세대. 취업난에 허덕이며 팍팍한 일상을 살아가는 이 시대 대한민국 청춘의 슬픈 자화상이 미술관으로까지 와 있다. 다음 달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연지동 두산갤러리에서 열리는 ‘본업: 생활하는 예술가’전은 이 불안한 청춘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몇몇 유명 작가를 제외한 청년 작가들이 주린 배를 움켜쥘 수밖에 없는 미술계 현실을 까발리는 자리다.

전시의 주인공은 20~30대 젊은 예술가들. 이들은 전업작가로 살고 싶어도 생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부업을 전전해야 한다. 그나마 부업이 미술과 연관된 인테리어나 과외일 경우 운이 좋은 편이다. 대부분 건설현장 일용직이나 편의점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리고 있다. “예술가는 늘 배가 고픈 법”이라는 주위 편견은 어깨를 더 무겁게 짓누른다. 작품을 발표할 기회조차 얻기 어려운 현실이 그렇다.

홍대 앞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미술 지도를 하는 이우성(31) 작가는 작업실을 나설 때마다 마주하는 커다란 붉은 벽돌 담장을 얇고 펄럭이는 천에 옮겨 번번이 느꼈던 위압감을 표현했다. 높은 벽은 학벌, 스펙, 돈 등 ‘사회의 벽’을 뜻한다. 그래서 담장 위에 그려진 사람들은 얼굴이 없다. 실제 벽이 아닌 가로 12m, 세로 3.5m의 천 위에 벽돌 담장을 그린 것은 견고하고 위압적인 벽을 펄럭이는 천을 통해 무력화시키려는 작가의 바람을 담고 싶어서였다. 이리저리 흔들리는 천은 88만원 세대의 불안감을 뜻하기도 한다. 작가는 “그동안 만났던 88만원 세대의 얼굴을 떠올려 이들이 담장 꼭대기에 앉은 모습을 그렸다. 현실 상황을 극복해 보고 싶다는 생각에 일부러 큰 작품에 도전해 봤다”고 말했다.

‘부업’(BUUP)이란 팀을 꾸려 유명 작가의 작품 전시를 위한 간이벽 등을 설치하며 ‘조수’로 살아가는 권용주(37) 작가는 부업 활동을 영상에 담아 보여준다. 조각을 전공하고 세 차례나 개인전을 열었던 전문 작가이지만 현장에선 나무를 자르고 못질을 할 뿐이다. 그 나름의 ‘부업 능력’을 인정받아 상반기까지 일정이 꽉 차 있을 정도다. 작가는 “미술관과 갤러리가 전시 기술자를 직접 채용하지 않는 세태가 역설적으로 내게 부업의 기회를 가져다 줬다”며 현실을 꼬집었다.

그래픽디자이너로 일했던 안데스(35) 작가는 취미를 돈벌이로 바꾸려는 시도를 한다. 황학동 시장 등에서 1000~2000원짜리 옷을 사 매일 다르게 옷 입기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수년째 자신의 인터넷 블로그에 기록해 왔다. 이렇게 모은 값싼 옷들로 전시장에 5.2m 높이의 탑 ‘패배를 위한 기념비’를 쌓았다. 작가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가벼운 존재들로 주류 마케팅에 대한 저항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며 “곧 연남동에 옷 가게를 열어 이 옷들을 팔 계획”이라고 말했다.

설치와 조각을 하는 이수성(29)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도 의도적으로 숨어버렸다. 다양한 부업으로 먹고사는 작가는 이우성, 안데스의 작품 설치를 도우며 이번에도 부업을 했다. “본업과 부업의 차이는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느냐 드러내지 않느냐인데 부업으로 살아왔으니 오히려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대신 부업 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메모들을 액자에 담아 선보였다. 현장의 음식 주문 내역, 방명록 등 소소한 내용은 고된 노동 과정을 그대로 말해준다.

전시를 기획한 이성희 큐레이터는 “붓을 놓고 부업에 휘둘려 살다 보니 본업과 부업이 헷갈리기까지 하는 젊은 작가들의 고민과 예술을 향한 의지 등이 읽혔으면 한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1-2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