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00년 고옥 처마 끝에 걸린 풍류

100년 고옥 처마 끝에 걸린 풍류

입력 2014-04-10 00:00
업데이트 2014-04-10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6일부터 ‘예인, 한옥에 들다’ 음향기기 없는 자연의 울림

“마당 넓은 집은 판소리가 어울리고, 넓은 대청에서 듣는 가곡의 맛은 기가 막힌다. 한옥의 사랑채와 안채는 산조 독주를 하기에 좋다.” 우리 음악 전문 음반사인 악당이반의 김영일 대표는 한옥을 ‘자연 스튜디오’로 생각한다. 은은한 울림을 만드는 한옥이 우리 음악을 듣기에 최적의 장소라는 의미다. 게다가 꽃놀이하기 좋은 서울 남산 자락에 놓인 한옥에서라면 더없이 호사스러운 풍류일 터. 오는 16일부터 두달 동안 열리는 ‘예인, 한옥에 들다’가 딱 그 순간이라 할 만하다.

이미지 확대
한옥에서 우리 음악을 듣는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의 ‘남산풍류’.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한옥에서 우리 음악을 듣는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의 ‘남산풍류’.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민씨 가옥은 1895년 서울 관훈동에 터를 잡았다가 1998년 중구 퇴계로 남산골한옥마을 안으로 옮겨졌다. 옛 선조들의 삶의 터전이자 그들의 풍류 공간이었던 100년 고옥(古屋) 민씨 가옥에서 매주 수·목·금요일 오후 8시에 ‘예인, 한옥에 들다’가 열린다.

16~18일과 23~25일은 국악계 대표 명인 6명이 꾸미는 ‘오늘의 예인’이다. 원장현류 대금산조보존회의 원장현 대표를 시작으로 판소리 적벽가의 준보유자 김일구(아쟁산조), 서도소리 보유자 김광숙(서도소리), 거문고산조 보유자 이재화(거문고산조), 가사 준보유자 김호성(시조가사), 판소리 고법 전수조교 정회천(가야금산조)이 생생한 울림을 전한다.

5월 14일부터 6월 20일까지는 우리 음악의 미래를 책임질 ‘내일의 예인’을 만난다. 경연을 통해 선발된 국악계 신진 예술가 18명이 연이어 만드는 무대다. 이들은 이태백, 윤호세, 김웅식, 원완철 등의 고수에게 지도를 받아 한층 성장한 음악을 전한다.

‘예인, 한옥에 들다’는 음향기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공간의 최적 인원 60명을 정원으로 해 예인들의 숨결과 조선 풍류방의 정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2만~6만원. 1544-1555.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4-10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