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무에 스며든 산수의 고요함

나무에 스며든 산수의 고요함

입력 2014-12-09 00:00
업데이트 2014-12-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판화가 김준권 아라아트센터 전시… 30년 미술 인생 망라한 화집도 발간

‘변신은 무죄’란 말은 여자들에게만 적용되는 게 아니다. 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운동권을 거쳐 미술교사로 전교조에 참여하다 해직된 이력을 가진 목판화가 김준권(58)에게도 적확한 표현이다. 독보적인 수묵 채색 목판화로 일가를 이룬 그가 자신의 미술 인생을 총정리한 화집 ‘나무에 새긴 30년’을 내고 10일부터 서울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전시회를 갖는다.

이미지 확대
김준권의 수묵목판 ‘산에서’(2007)
김준권의 수묵목판 ‘산에서’(2007)
“1980년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민중문화 운동으로 판화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러다 먹으로 찍어내는 우리 전통 목판화가를 제대로 연구해 보자고 달려들어 파헤치기 시작했는데 조금씩 익혀간 게 어느새 30년이 훌쩍 흘렀습니다.”

전시를 앞두고 가진 간담회에서 그는 “원래 제 작업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도록만 내려다가 일이 커져서 전시까지 하게 됐다”면서 “80년대 작업부터 최근까지 연도별로 대표적인 작품 5~6점을 추려 300점 정도와 초기 유화작품들을 전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극사실주의에 몰입했던 초창기 유화 20점부터 수묵채색목판까지 그의 작가적 여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그가 구사하는 수묵 채색 목판화를 풀어 쓰면 드로잉을 하고, 나무를 깎아, 동양화 물감이나 먹을 칠하고, 화선지에 찍어내는 것이다. 수묵화의 느낌을 내려면 색상의 종류와 물감의 농담에 따라 판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한 장의 그림을 위해서 48~60개의 판을 만든다.

고된 작업이고, 화랑가에서도 ‘돈이 안 된다는’ 이유로 외면받는 목판화를 수십년째 붙들고 있는 이유를 묻자 그는 “뭔가에 홀렸나 보다”면서 “먹과 화선지를 사용하는 수묵 목판화는 유성 판화와 달리 찍을 때마다 종이에 물을 얼마나 적시는지, 그 순간의 감각에 따라 다른 그림이 나오는 게 매력”이라고 덧붙였다. 종이에 찍고 그늘에서 말리기를 거듭하는 과정을 한 달 넘게 하며 완성하다 보면 화선지의 반복된 수축과 팽창이 남모를 깊이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홍익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그가 민중미술을 하다가 수묵 목판화에 집중한 계기에 대해 “시야가 달라졌고, 스스로 입체적으로 보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민중미술을 하면서 상상 속의 도상만을 그렸던 그는 1993년 서울에서 충북 진천으로 작업실을 옮기면서 눈에 보이는 사람과 풍경을 나무에 담기 시작했다. ‘동네 길과 동네 사람’을 소재로 작품을 구상하던 그는 한국의 수묵 목판화를 좀 더 자세히 연구하고 싶어 중국 뤼신미술대학의 목판화 연구원으로 4년간 지냈고, 일본에서도 6개월간 머물며 전통 목판화인 우키요에를 연구하기도 했다. 지난달 갑자기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수술까지 받은 몸을 추스리고 나왔다는 그는 “한국의 수묵화는 허(虛)와 정(靜)의 산수미를 지녀 아주 매력적”이라면서 “한국과 중국, 일본에 모두 목판화가 있지만 한국의 목판화가 가장 경쟁력이 있다. 하지만 한국의 목판화 제작 환경이 열악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아라아트센터 전관에서 열리는 전시는 대학 졸업 즈음 그가 몸담았던 극사실주의 유화와 민중감성 위주의 작품들부터 농촌풍경의 사실적 표현시기, 수묵 채색판화의 전개, 운문적 산수풍경, 원숙미의 사의(寫意)풍경 등 시대순으로 구성된다. 전시는 29일까지.(02)733-1981.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2-0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