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연 리뷰] 연주자와 관객이 함께 호흡했던 음악제, 2019경기실내악축제

[공연 리뷰] 연주자와 관객이 함께 호흡했던 음악제, 2019경기실내악축제

입력 2019-11-04 16:16
업데이트 2019-11-04 1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0월 30일, 경기도문화의전당이 주최하는 2019경기실내악축제가 폐막했다. 올해부터는 송영훈 예술감독이 새롭게 축제를 이끌었고, 수십명의 정상급 연주자들이 축제에 참여했다. 5회째를 이어온 경기실내악축제는 본진인 수원 경기도문화의전당 뿐만 아니라, 경기 북부지역까지 연주자들이 직접 찾아가는 공연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2018년에는 경기도 전역을 돌며, 15회나 되는 공연을 소화했다.
첼리스트 송영훈과 피아니스트 박종훈의 실내악 공연. 경기도문화의전당 제공
첼리스트 송영훈과 피아니스트 박종훈의 실내악 공연. 경기도문화의전당 제공
경기도 곳곳을 직접 순회하는 만큼 다양한 요소들이 축제에 영향을 미친다. 2019경기실내악축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경기도내 축제나 행사들이 대거 취소되었다. 경기실내악축제 역시 파주 등 경기 북부 지역 공연이 취소되었으며, 일부 공연은 장소를 옮겨 다시 진행해야만 했다.

국내에는 특별히 실내악 축제라고 불릴만한 행사가 적다. 실내악은 그만큼 다른 장르에 비해 인기가 많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관객들이 연주자들과 더 가까이서 호흡할 수 있기 때문에 장르 자체가 가진 매력은 대단하다. 실내악 무대에서는 관객들이 연주자 개개인에 집중할 수 있고, 개별 연주자들이 하는 이야기들을 가까이서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악기들이 서로 긴밀하게 대화하는 모습이 극대화 되는 장르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악기 하나가 전체를 리드하기 시작하는 순간 실내악의 정의에서는 점점 멀어진다.

30일 경기도문화의전당 대극장에서 열렸던 폐막 공연 역시 관객들의 높은 집중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대의 연주자들도 서로의 소리를 듣고 기민하게 반응하며 음악을 이어갔다.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동반하는 공연에서는 좀처럼 찾기 힘든 광경이다. 그러다보니 확실히 관객들과의 물리적 거리는 가까워졌다. 관객들은 보다 가까이서 연주자들과 호흡할 수 있고, 연주자 개개인과 정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
첼리스트 송영훈과 박유신의 실내악 공연. 경기도문화의전당 제공
첼리스트 송영훈과 박유신의 실내악 공연. 경기도문화의전당 제공
다만 ‘음악적 거리도 가까워 졌을까?’ 라고 한다면 아직은 과제로 남아 있다. 스트링 섹션에 편중된 실내악 구성은 다양한 취향의 관객들을 만족시키기 어려워 보였다. 다른 섹션의 악기들이 폭넓게 들어온다면 실내악의 스펙트럼은 넓어진다. 자연히 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의 폭도 늘어나고 축제의 주제를 명확하게 잡을 수 있는 기회도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관객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만한 프로그램들이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물론 실내악이라는 장르를 관객들에게 편안하게 소개하고 싶었던 예술감독의 의도는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대중성’이라는 키워드에 지나치게 몰입한다면,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놓치게 된다. 실내악 장르의 매력을 어필해야 하는 축제인 만큼, 프로그램은 보다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 이 축제의 타이틀은 다름 아닌 ‘실내악’ 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예술감독의 역할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예술감독은 단순한 출연을 넘어 아티스트의 초청 및 전반적인 기획까지 전방위로 축제를 담당한다. 일본 벳부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등 성공적으로 브랜딩되어 전세계로 수출까지 하는 사례들을 보면 힌트를 찾아볼 수 있다.

이어지는 2020경기실내악축제 역시 송영훈 예술감독이 다시 한번 키를 잡는다. 폭넓은 프로그래밍과 확실한 테마를 바탕으로, 관객과 음악적 거리가 가까워지는 실내악축제가 열리기를 기대한다.

허명현 음악칼럼니스트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