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동양철학에서 찾은 의사소통 방식

동양철학에서 찾은 의사소통 방식

입력 2010-06-19 00:00
업데이트 2010-06-19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김정탁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명륜당(유교철학)과 해인사(불교철학)에 이미 모든 답들이 있는데 왜 굳이 내 철학을 통해 한국 사회를 연구하려고 드느냐?”

몇 해 전 독일의 세계적인 사회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가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그의 조언을 구하는 한국의 학자들에게 점잖게 던진 한마디다. 주체를 중심에 두지 못한 채 서구의 학문과 대가의 권위에 기대려 했던 이들이 머쓱해졌음은 훤히 짐작하고도 남을 장면이다. 달리 보면 유(儒)·불(佛)·도(道)를 중심으로 하는 동양철학의 우수성이 근대 학문의 텍스트로서도 손색없음을 외부에서 먼저 인정해 준 셈이다.

김정탁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학문적 방법론의 전환도 여기에서 비롯됐다. 김 교수는 최근 내놓은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을 통해 서구 중심, 기능 중심, 매체 중심의 기존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 풍토에서 보자면 파천황(破天荒)과도 같은 성과를 내놓았다.

그는 “동양철학은 언어와 문자가 갖는 한계를 알기 때문에 기표를 몸 담론까지 확장시킨다.”면서 “자세, 태도, 눈빛 등 몸의 텍스트를 오히려 더욱 중요시 여긴다.”고 동양철학에 담긴 의사소통의 특수성을 설명했다.

동양철학을 가지고 흔히 서구의 학문으로 평가하는 매스커뮤니케이션학에 접근하고 이를 해석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히 특별하다. 그러나 ‘현’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노자(子)와 장자(莊子)의 철학을 갖고 의사소통의 현상과 행위를 분석하고, 대안적 가치가 절로 도출되도록 했다.

그의 해석은 흥미롭다. 자연과 개체, 인간 존재 등을 기능적으로 구분하거나 아래 위 위계를 지으려는 기능적 접근을 거부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 아타불이(我他不二)를 채택한 것이다. 즉, ‘현(玄)’에 입각한 소통 방식을 명확히 체계화한다.

‘현’은 천자문의 첫 구절인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 나왔다. 하늘은 ‘현’하고, 땅은 ‘황’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현(玄)은 동서남북 하늘 어디를 둘러봐도 따로 구분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황(黃)은 산과 강, 숲, 호수로 그 존재를 구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면서 “현에 입각한 의사소통 방식은 알면서도 말이 없는(知者不言) 단계에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유가는 ‘황’의 소통방식에 더 가깝지만, 큰 범주에서 서구 학문 방식과 비교하면 유가 역시 ‘현’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 예컨대 공자가 60세를 일컬었던 ‘이순(耳順)’의 상태, 즉 귀를 순하게 하는 일 또한 현의 소통방식에 가깝다.

그는 “유, 불, 도 텍스트의 담론이 이렇게 풍부한데도 이를 의사소통의 이론으로 접근하지 못했음이 안타깝다.”면서 “새로운 이론이기에 신문방송학을 하는 동료학자보다는 동양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연구 성과를 주고받을 때가 더 많다.”고 말했다. ‘의사소통 행위의 해석과 대안’이라는 관점에서 노자와 장자에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2만 8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6-1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