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한부 인생 작가의 화해와 이별 연습

시한부 인생 작가의 화해와 이별 연습

입력 2011-07-02 00:00
업데이트 2011-07-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 4·3사건 담은 현길언 소설집 ‘유리벽’

죽음은 관념이 아니다. 실제다. 덜 여문 생각 혹은 막연한 두려움이 죽음을 관념 속에 머물게 할 뿐이다. 구체적인 삶 속에서 죽음의 시원(始源)을 좇는 것도, 공포스럽기만 한 죽음을 극복하거나 남은 이들을 치유하는 것도 모두 잔인할 만큼 지극히 현실 속의 일이다.

현길언(71)의 소설집 ‘유리벽’(문학과지성 펴냄)에 실린 여섯 편의 단편과 한 편의 중편은 한결같이 삶이 어떤 식으로든 결국 대면해야 할 죽음과의 관계, 죽음과의 공존법을 그려 내고 있다. 현길언은 자신의 삶 속에서 점점 횟수가 잦아지고 다양해지는 죽음의 형태들을 하나씩 꺼내 확인한다. 그리고 그냥 그곳에 머물지 않고 화해하고 치유를 권한다.

회사에서 소모품처럼 이용되다 배신당하고, 가장 가깝게 믿었던 이들에게조차 진심의 위로를 받지 못한 이에게 산에 올라가 줄에 목을 거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은 없었다(‘유리벽’).

6개월 시한부 삶을 선고받은 노정객은 울분과 절망에 가득 찼지만 결국 자신은 물론 주변 이들과 화해하고 이별 연습을 한다(‘고향에서 보낸 마지막 며칠’). 어린 소년 현길언이 고향 제주 4·3 현장에서 목도하거나 전해 들은 숱한 죽음들은 아예 직접적으로 서술된다(‘죽음에 대한 몇 개의 삽화’). 여기에 한국전쟁 때 자행된 양민학살에 대한 작품(‘짧은 혀 긴 혀’)은 사관(史官)으로서의 소설가 역할을 상기시킨다.

노()작가는 그렇다고 부러 과장하거나 흥분하지 않는다. 죽음의 사례를 하나씩 끄집어내지만 이를 담담히 풀어내며 죽음의 의미를 스스로 물을 뿐이다. 그리고 평생에 걸쳐 종교(기독교)를 삶과 문학의 한 축으로 삼아 온 작가답게, 성찰의 언어와 화해의 문장 속에서 치유와 화해의 방법을 넌지시 건넬 뿐이다.

현길언은 ‘작가의 말’을 통해 “몇몇 작품은 오래전에 발표했던 것들인데 최근에 대폭 수정한 것들”이라면서 “작품을 추릴 때는 생각하지도 못했는데 모아 놓고 보니 모두 죽음이나 떠남을 얘기하고 있어 나 자신도 놀랐다.”고 말했다. “십수 년 전 발표 당시부터 요즘에 이르기까지 이런 문제가 내 관심의 한복판에 있음을 알게 됐다.”고도 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7-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