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직립보행·맥주·컴퓨터… 인류를 어떻게 바꿔놨나

직립보행·맥주·컴퓨터… 인류를 어떻게 바꿔놨나

입력 2012-06-09 00:00
업데이트 2012-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초의 것】 후베르트 필저 지음 지식트리 펴냄

뭐든 ‘최초’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한데 ‘최초’가 모멘텀으로서뿐 아니라 실제적인 중요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어떤 결과를 낳았느냐가 뒤따라야 한다. ‘그래서 어떻게 됐는데?’ 혹은 ‘그게 어떤 의미를 갖는 거지?’ 등의 궁금증에 대한 답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문제는 그 과정이 지난하다는 것. 원하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많은 사례를 찾아야 하고, 다른 종류의 논리들과도 경쟁을 해야 한다.

독일의 저널리스트 후베르트 필저가 쓴 ‘최초의 것’(김인순 옮김, 지식트리 지음)은 그 방대한 작업을 빈틈 없이, 그리고 재밌게 이끌어 간다. 무엇보다 쉬운 단어들과 현란한 레토릭이 자랑이다. 그 덕에 제법 묵직한 주제들도 알기 쉽게 정리된다.

책은 인류의 직립 보행에서부터 최초의 맥주를 거쳐 최초의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최초의 것들 18가지를 연대순으로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그 최초의 것들에서 기인한 상황들을 재구성하는 한편, 그것이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려 준다.

직립보행은 성공적인 모델이었다. 후두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언어의 생성 조건이 확보됐고, 양 손이 자유를 얻었으며, 지구력으로 무장한 두 다리는 더 많은 짐승들을 사냥할 수 있게 했다.

무엇보다 ‘눈을 들어 하늘을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관점이 높아졌고, 그와 결부된 자신감은 수십만 세대를 거쳐 바벨탑처럼 치솟은 마천루를 지을 수 있게 했다.

그런데 이 직립보행이 완결판이 아니란다. 지금도 진화와 타협하고 있고, 어쩌면 실패한 진화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오로지 넘어지지 않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써야 한다. 골반 부위에선 걸핏하면 추간판 돌출 사태가 빚어지고, 늘 중력과 싸우는 관절은 언젠가 탈이 나고 만다. 중년에 심장이 약해지는 것도 비슷한 이유다. ‘애초의 설계도’에서 90도 변화한 대가다. 저자는 농반진반 여름철 바캉스 가서 그늘에 누워만 있지 말고 자주 물속을 거닐라고 권하는데, 이게 허투루 들을 얘기가 아니다. 우리 몸이 중력의 부담에서 일정 부분 해방된다는 게 매우 유익한 일이기 때문이다.

선사시대의 옷에 성적 코드와 패션 감각이 묻어 있다는 것도 놀랍다. 예컨대 1991년 유럽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 맨’ 외치는 발굴 당시 부드러운 염소 가죽 바지를 입고 있었다. 몸매를 훤히 드러내는 옷인데, 저자는 당시 자연환경에 비춰볼 때 그가 단지 생존만을 위해 그 옷을 입었다고는 볼 수 없다고 했다. 무려 5300년 전 인류의 옷에 과시와 욕망이 담겨져 있었다는 얘기다. 아울러 파란 눈의 조상은 단 한 명이라는 것, 늑대가 최초의 가축이었다는 사실 등도 관심을 끈다. 1만 5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06-0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